그러나 동료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관계를 단절시키고 결국 자신과 동료들의 경력도 해칠 것이라고 걱정해 미온적인 평가를 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동료들로부터 수집된 평가결과는 왜곡되거나 지나치게 긍정적이어서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2.집단성과의 역설=대부분의 동료평가제도가 그 자체로 종업원집단의 작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사실이 간과되고 있다.
동료평가는 작업팀이나 집단의 상황을 이해하는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대체로 개인의 업무성과를 추적하기 위한 것으로 활용되었다.
어떤 유명 은행의 한 벤처캐피탈 조직에서 개별적인 동료평가는 작업팀 내에서 섬세하게 형성된 균형 있는 상호지위와 책임의 관계를 위협하게 됐다.
성과가 좋지 않은 작업팀도 동료평가에 소극적으로 임하는 경우가 흔하다.
수익이 떨어지고 있는 한 전문서비스 기업의 간부들은 동료평가를 책임을 묻기 위한 은폐된 형태의 시도로 보고 거의 의견을 제시하지 않았다.
3.측정의 역설=개인의 성과를 평가하는 척도가 간단하면 상세한 정보나 통찰력을 주지 못하고 업무성과를 개선하는데도 도움을 주기 어렵다.
한 미디어 회사는 동료와 상사들에 의해 정교하고 수 차에 걸친 평가를 거치는 성과측정프로그램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많은 종업원들은 서류작업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평가결과로 단순히 몇 가지 등급이 제시되는데 불만을 가졌다.
종업원들은 그들이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지,그들의 경력을 성공적으로 추구하기 위해 그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없었다.
4.보상의 역설=대부분의 사람들은 동료평가가 임금결정과 승진에 반영될 때 이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한다.
단기적으로 종업원들은 업무성과를 개선하려고 노력할지 모른다.
그러나 직원들은 자신의 평가가 동료들의 임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면 중요한 평가사항의 제공을 꺼렸다.
그러면 동료평가방식을 임금에 연계시키지 말아야 한다는 것인가?
그 해답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동료평가가 임금에 영향을 주지 못할 때 그것은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