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대형 기술주의 실적 발표와 미연준의 정책회의를 앞두고 혼조세로 출발했다. 동부표준시로 오전 10시에 기술주가 주도하는 나스닥 종합지수는 0.6% 상승했으며 S&P500은 0.2% 올랐다. 전 날에 유일하게 올랐던 다우존스 산업평균은 이 날도 0.1% 상승했다.10년만기 국채 금리는 4.54%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 미국 달러화는 트럼프 대통령이 아시아 동맹국을 겨냥해 반도체 철강 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하면서 주요국 통화에 대해 0.3% 오르면서 강세로 돌아섰다. 전 날 17% 폭락한 엔비디아는 이 날 1.4% 소폭 반등했다. 엔비디아는 전 날 하락으로 시가총액이 5,930억달러 감소, 미국 증시 역사상 일일 최대 시가총액 하락 기록을 세웠다. 역시 전 날 폭락했던 브로드컴과 오라클은 각각 1%, 2%씩 올랐다. 그러나 하락폭에 비해 반등폭이 미미해 중국발 딥시크의 저렴한 AI 쇼크로부터 회복되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블룸버그는 수요일부터 시작되는 기술주의 이번 실적 시즌이 냉정한 판단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월가도 매그니피센트 세븐 기업들의 매출이 여전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전 분기보다는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2022년 나스닥 상승을 주도해온 빅테크에 대한 압박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프린서펄 자산 운용의 수석 글로벌 전략가인 시마 샤는 “미국 기술주의 밸류에이션이 여전히 높다”며 올해는 “미국 예외주의도 불확실성에 직면해있고 관세와 인플레이션 우려도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파리에 있는 에드몬드 드 로스차일드의 유럽 주식 책임자인 마크 핼퍼린은 이번 주
블랙스완의 저자 나심 탈레브는 엔비디아의 폭락이 인공지능(AI) 주식에 무작정 뛰어든 투자자들이 닥칠 일의 맛보기에 불과하다고 경고했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나심 탈레브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월가의 AI 주도 주식 랠리에 무작정 뛰어든 투자자들에게 닥칠 일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전 날 엔비디아 등 AI주식에 대한 집중 매도는 미국의 기술 거대 기업이 예상대로 AI 분야를 지배하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갑작스러운 공포에 의해 촉발됐다. AI모델 훈련에 저비용 접근 방식으로 뒤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준 중국의 AI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에 따른 것이다. 탈레브는 투자자들이 지금까지 엔비디아에 대한 단일 스토리에 너무 집중했다고 말했다. 즉 이 회사 주가가 AI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함에 따라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전제이다. 그는 월요일의 주가 급락도 실제 위험을 고려하면 덜 떨어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 너무 많은 투자자들이 AI 관련 회사에 집중 투자하고 있지만, AI가 어떻게 기능하고 또 성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세부 내용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술 회사를 ‘회색 백조’로 묘사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하루에 발생할 수 있는 가격의 편차를 과소평가한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경제학자로 파생상품 투자 경력을 가진 리스크공학 연구자인 탈레브는 희귀하고 예측할 수 없는 사건의 엄청난 영향을 탐구하는 저서인 ‘블랙스완’으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됐다. ‘블랙스완’에서 현대 금융시스템의 허술함을 지적한 지 얼마 안돼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발생해 유명세를 얻었다. 그는 현재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오픈 소스 이미지 모델을 출시했다. 딥시크는 이 모델의 성능이 오픈AI의 이미지 모델 '달리(DALL-E3)' 보다 우수하다고 주장했다. 딥시크는 27일(현지시간) 허깅페이스를 통해 이미지 이해 및 생성 모델 '야누스 프로 7B'를 출시했다. 딥시크 측 기술 논문에 따르면 이 모델 역시 추론모델 R1과 마찬가지로 효율성에 강점이 있다. 사실적인 이미지 생성과 복잡한 시각적 추론, 이미지 캡션 생성 등 다양한 시각 작업에서 탁월하다고 보고서는 적었다. 보고서는 또 야누스 프로가 7200만 개의 고품질 합성 이미지를 추가하고 이를 실제 데이터와 균형 있게 조정해 시각적으로 더 매력적이고 안정적인 이미지 출력을 달성했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이전 통합 모델을 능가하고, 기존 모델의 성능과 동일하거나 더 뛰어나다"고 강조했다. 복잡한 프롬프트에 대한 이미지 생성 기능을 테스트하는 'DGP-벤치' 등에서 오픈AI 달리 3와 스테이블 디퓨전의 SDXL 성능을 능가한다고 주장했다. 딥시크는 추론모델 R1으로 글로벌 AI 생태계에 충격을 준 기업이다. 딥시크가 최근 출시한 오픈소스 추론 모델인 R1은 오픈AI의 o1에 필적하는 성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딥시크는 R1 훈련에 600만 달러(약 86억7600만원)도 들지 않았다고 밝혔다. AI 모델 구축에 수십억 달러를 쏟고 있는 미국 기업과는 대조적이다.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