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학년도 대학입시] '어려운 수능' 기대반 우려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난이도 상향 조정을 골자로 하는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세부시행계획에 대해 서울대 등 각 대학 입시 관계자들은 수능의 변별력이 높아질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시했다.
그러나 일부 대학은 수능 등급제가 성적에 따라 공정하게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것이라며 우려했다.
수험생과 일선 고교, 입시학원들은 ''어려운 수능''에 대해 다소 혼란스러워하며 대입진학 전략을 다시 짜는 등 부산하게 움직이고 있다.
서울대는 2002학년도 수능시험이 예년 수준으로 출제되면 변별력을 갖게 될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학교의 유영제 입학처장은 그러나 "수능 등급제 도입에 따라 동점자가 양산될 것"이라며 "따라서 모집정원의 2∼3배수를 뽑는 1단계 전형에서는 많은 수험생들에게 기회를 주는 차원에서 이들 동점자를 전원 합격시킬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세대도 수능이 다소 어렵게 출제된다면 지난해 변별력을 상실해 많은 비판을 받았던 수능이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며 환영했다.
이 학교의 김하수 입학처장은 "수능 등급제가 도입됨에 따라 학생부와 논술 면접 등 다른 전형의 중요성이 높아졌다"며 "입시제도가 정착단계에 있는 만큼 지난해의 학생 선발방법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려대는 수능 난이도 상향 조정을 환영했지만 수능 등급제 도입에 따라 수능성적을 최저 학력기준으로 삼고 학생부 논술 면접 등 다른 전형의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강대는 그러나 "수능 등급제를 도입하면 같은 등급을 받은 학생중 어느 학생이 더 우수한 학생인지 가릴 수가 없다"며 우려했다.
수험생과 일선 고교, 입시학원 관계자들은 2002학년도 수능 난이도 상향조정 계획에 대해 다소 당혹스러워하면서 대책마련에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현대고 권순환 연구부장 교사는 "작년에 수능이 너무 쉬워 공부를 안해도 된다는 교실붕괴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던 차에 이번 조치는 변별력을 높여 학생들이 실력을 제대로 평가받게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수찬.안재석 기자 ksch@hankyung.com
그러나 일부 대학은 수능 등급제가 성적에 따라 공정하게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것이라며 우려했다.
수험생과 일선 고교, 입시학원들은 ''어려운 수능''에 대해 다소 혼란스러워하며 대입진학 전략을 다시 짜는 등 부산하게 움직이고 있다.
서울대는 2002학년도 수능시험이 예년 수준으로 출제되면 변별력을 갖게 될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학교의 유영제 입학처장은 그러나 "수능 등급제 도입에 따라 동점자가 양산될 것"이라며 "따라서 모집정원의 2∼3배수를 뽑는 1단계 전형에서는 많은 수험생들에게 기회를 주는 차원에서 이들 동점자를 전원 합격시킬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세대도 수능이 다소 어렵게 출제된다면 지난해 변별력을 상실해 많은 비판을 받았던 수능이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며 환영했다.
이 학교의 김하수 입학처장은 "수능 등급제가 도입됨에 따라 학생부와 논술 면접 등 다른 전형의 중요성이 높아졌다"며 "입시제도가 정착단계에 있는 만큼 지난해의 학생 선발방법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려대는 수능 난이도 상향 조정을 환영했지만 수능 등급제 도입에 따라 수능성적을 최저 학력기준으로 삼고 학생부 논술 면접 등 다른 전형의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강대는 그러나 "수능 등급제를 도입하면 같은 등급을 받은 학생중 어느 학생이 더 우수한 학생인지 가릴 수가 없다"며 우려했다.
수험생과 일선 고교, 입시학원 관계자들은 2002학년도 수능 난이도 상향조정 계획에 대해 다소 당혹스러워하면서 대책마련에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현대고 권순환 연구부장 교사는 "작년에 수능이 너무 쉬워 공부를 안해도 된다는 교실붕괴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던 차에 이번 조치는 변별력을 높여 학생들이 실력을 제대로 평가받게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수찬.안재석 기자 ksc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