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운 오리새끼' 신세 전락..'제3시장 개설1년...현황.과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7일로 개설 1주년을 맞는 제3시장은 증권계에서 ''미운 오리새끼''같은 신세가 돼있다.
"1년만에 이만하면 자리를 잡은 것"이란 긍정적인 평가도 있지만 "아예 없는 편이 낫겠다"는 무용론과 회의적인 시각이 더 강한 것이 현실이다.
일단 외형상으로는 시장규모가 크게 성장했다.
25일 현재 지정업체수는 1백37개사.5년의 연륜을 가진 코스닥시장의 등록업체가 6백10개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적지않은 수다.
그러나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야말로 ''속빈 강정''이다.
하루 평균거래대금은 작년 3월 43억3천만원이던 것이 1년이 지난 올 3월에는 4억3백만원으로 10분1로 줄었다.
하루 평균거래량도 86만주에 그쳐 증권거래소나 코스닥시장의 한 종목 거래량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삼성과 현대 외에는 증권사들이 제3시장팀조차 두지 않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러다보니 지정업체들은 3시장에 들어있다는 것 자체로 기업이미지가 오히려 떨어진다며 차라리 시장에서 탈퇴하겠다고 강한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문제점=이같은 불만의 요인들은 제3시장 시스템 자체에 내재하고 있다.
증권거래소나 코스닥시장과는 달리 제3시장은 상대매매를 체결하고 있어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제시하는 가격이 똑같이 맞아 떨어져야만 거래가 성립한다.
그러다보니 거래가 부진할 수밖에 없다.
가격제한폭도 거래소는 ?15%,코스닥시장은 ?12%인데 반해 제3시장은 제한폭이 아예 없다.
가격변동에 따른 리스크가 그만큼 크다는 얘기다.
더욱이 매매가 체결된 종목은 이틀 후에 다시 팔거나 살 수 있게 돼있어 불편하기 짝이 없다.
여기에다 장외시장과 같이 매매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내게 돼있어 장외시장과 다를 게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개선방안=제3시장을 활성화하려면 시장의 성격과 기능부터 재정비해 코스닥시장으로 진입하기 전단계인 프리(pre)코스닥시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신경제연구소 김병국 선임연구원은 "당장 시급한 것은 거래의 활성화"라며 "가격제한폭을 설정하고 당일매매(데이트레이딩)를 허용해 거래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제3시장은 당초 자금유치보다는 지정업체가 됨으로써 기업이미지를 제고하려는데 설립 목적이 있다"면서 "거래가 활성화돼야만 지정업체들의 이미지와 인지도가 높아지고 직등록 등을 통해 코스닥시장도 활성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는 재정경제부의 자세가 바꿔야만 시장이 살아날 수 있다는 지적(장성환 3S커뮤니케이션 사장)도 있다.
코스닥증권시장은 당초 27일 개설 1주년 기념 세미나를 열려했으나 재경부 관계자들이 참석에 난색을 표명해 취소했다.
성토장이 될 것을 우려해서다.
현재 지정업체들중 직등록을 추진중인 곳은 45개사나 된다.
연말에는 지정업체수가 2백50~3백개에 이를 것이란 전망도 있다.
그러나 정부가 제도개선 등 시장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제3시장은 제도권내의 장외시장으로 전락해버릴 것이란 게 증권계의 중론이다.
문희수 기자 mhs@hankyung.com
"1년만에 이만하면 자리를 잡은 것"이란 긍정적인 평가도 있지만 "아예 없는 편이 낫겠다"는 무용론과 회의적인 시각이 더 강한 것이 현실이다.
일단 외형상으로는 시장규모가 크게 성장했다.
25일 현재 지정업체수는 1백37개사.5년의 연륜을 가진 코스닥시장의 등록업체가 6백10개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적지않은 수다.
그러나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야말로 ''속빈 강정''이다.
하루 평균거래대금은 작년 3월 43억3천만원이던 것이 1년이 지난 올 3월에는 4억3백만원으로 10분1로 줄었다.
하루 평균거래량도 86만주에 그쳐 증권거래소나 코스닥시장의 한 종목 거래량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삼성과 현대 외에는 증권사들이 제3시장팀조차 두지 않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러다보니 지정업체들은 3시장에 들어있다는 것 자체로 기업이미지가 오히려 떨어진다며 차라리 시장에서 탈퇴하겠다고 강한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문제점=이같은 불만의 요인들은 제3시장 시스템 자체에 내재하고 있다.
증권거래소나 코스닥시장과는 달리 제3시장은 상대매매를 체결하고 있어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제시하는 가격이 똑같이 맞아 떨어져야만 거래가 성립한다.
그러다보니 거래가 부진할 수밖에 없다.
가격제한폭도 거래소는 ?15%,코스닥시장은 ?12%인데 반해 제3시장은 제한폭이 아예 없다.
가격변동에 따른 리스크가 그만큼 크다는 얘기다.
더욱이 매매가 체결된 종목은 이틀 후에 다시 팔거나 살 수 있게 돼있어 불편하기 짝이 없다.
여기에다 장외시장과 같이 매매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내게 돼있어 장외시장과 다를 게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개선방안=제3시장을 활성화하려면 시장의 성격과 기능부터 재정비해 코스닥시장으로 진입하기 전단계인 프리(pre)코스닥시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신경제연구소 김병국 선임연구원은 "당장 시급한 것은 거래의 활성화"라며 "가격제한폭을 설정하고 당일매매(데이트레이딩)를 허용해 거래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제3시장은 당초 자금유치보다는 지정업체가 됨으로써 기업이미지를 제고하려는데 설립 목적이 있다"면서 "거래가 활성화돼야만 지정업체들의 이미지와 인지도가 높아지고 직등록 등을 통해 코스닥시장도 활성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는 재정경제부의 자세가 바꿔야만 시장이 살아날 수 있다는 지적(장성환 3S커뮤니케이션 사장)도 있다.
코스닥증권시장은 당초 27일 개설 1주년 기념 세미나를 열려했으나 재경부 관계자들이 참석에 난색을 표명해 취소했다.
성토장이 될 것을 우려해서다.
현재 지정업체들중 직등록을 추진중인 곳은 45개사나 된다.
연말에는 지정업체수가 2백50~3백개에 이를 것이란 전망도 있다.
그러나 정부가 제도개선 등 시장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제3시장은 제도권내의 장외시장으로 전락해버릴 것이란 게 증권계의 중론이다.
문희수 기자 m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