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미거듭 현대건설 해법]출자전환...減資...'산넘어 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건설 해법이 엇갈리고 있다.
빠르면 29일 열릴 채권금융기관 협의회에서 결론날 수도 있지만 시간이 더걸릴 수도 있다.
채권단 내부에서는 법정관리 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정부는 조기 출자전환,채권단은 법정관리로 맞서있는 형국이다.
법정관리후 출자전환과 조기 출자전환,신규자금 지원론이 맞선 꼴이다.
"정부 방침도 중요하지만 채권자들이 현대건설을 어떻게 할지가 더 중요하다"(이연수 외환은행 부행장)는 게 주채권은행의 공식 입장이다.
출자전환을 하더라도 신규 자금지원 등 채권금융기관들의 협조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선 채권단의 "동의"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전날만 해도 조기 출자전환으로 가닥을 잡았던 현대건설 해법은 이로써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고 말았다.
물론 "부도-법정관리-청산"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밟을 가능성은 작다.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워낙 파괴적이어라는게 그나마의 버팀목이다.
이번 주말부터 본격적으로 돌아오는 어음과 회사채를 막는 문제가 당장의 과제다.
출자전환으로 방향을 잡더라도 소액주주 감자(감자),채권금융 회사간 출자지분 문제 등 넘어야할 산이 적지 않다.
<>발등에 떨어진 불=이번주말 현대건설엔 1천억원대의 진성어음이 돌아온다.
4월과 5월엔 각각 1천1백억원 어치와 8백억원 어치의 어음이 만기다.
내달중 회사채 만기분도 7백억원에 달한다.
현대가 과연 자체 자금으로 이들 어음과 회사채를 막을 수 있을지 관건이다.
못 막으면 부도다.
채권단이 신규 자금을 지원해 대신 막아줄지도 확실치 않다.
외환은행은 "현대건설에 대한 신규자금 지원 여부도 채권단 회의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만약 합의가 되지 않으면 법정관리가 불가피하다.
일각에선 신용보증기금이 보증을 서고 현대건설이 CB(전환사채)를 발행해 급전을 마련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CB는 현대자동차 등 정씨 형제의 계열사가 인수토록 한다는 것.실현가능성은 크지 않다.
<>법정관리 가능성=유동성 위기를 돌파하는 대안중 하나로 법정관리가 거론된다.
우선 계속 돌아오는 채권부터 막고 난뒤 출자전환을 하더라도 한다는 얘기다.
법정관리를 신청하면 모든 채권-채무가 동결되기 때문에 숨 돌릴 시간을 벌 수 있다.
신규 자금 지원에 부담을 느끼는 채권단은 법정관리 쪽으로 기울어 있다.
출자전환을 순조롭게 하기 위해서도 법정관리가 유리하다는 지적도 있다.
출자전환을 하려면 소액주주들의 지분을 감자(감자)하고 채권금융회사들이 출자비율에 대해 합의해야 하지만 쉬운 문제가 아니다.
시간을 끌다 보면 현대건설 유동성 위기는 더욱 커질 수 있다.
때문에 법정관리로 채권-채무를 동결해 놓고 감자와 출자전환을 확실히 추진한다는 것이다.
<>출자분담 합의=출자전환을 한다면 최소한 1조원 이상은 해야 한다.
자산을 초과하는 부채가 9천억원이기 때문에 이를 모두 해소하고도 적정 규모의 자본금을 갖추기 위한 최소한의 수치다.
차제에 출자전환 규모를 2조원 이상으로 늘려 현대건설의 자립기반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이는 전적으로 채권단의 합의여부에 달렸다.
그러나 이해가 엇갈려 합의 도출이 쉽지 않은 처지다.
특히 은행들과 보험 증권 등 제2금융권간 갈등이 예상된다.
은행들은 출자전환 규모를 늘리려면 제2금융권도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제2금융권의 생각은 다르다.
잡아놓은 담보도 없다는게 2금융권의 호소다.
출자규모가 결정되더라도 금융회사간 출자비율을 어떻게 정하느냐도 논란거리다.
현재로서는 회사채를 제외한 순수 대출금 비율로 나눌 공산이 크다.
<>정부 입장=아직은 출자전환에 기대를 걸고있다.
그렇다고 내놓고 채권단을 몰아칠 수도 없다.
현대건설의 자본잠식과 적자 규모가 당초 예상보다 크다는 게 정부의 발목을 잡고있다.
결국 경제장관들이 4시간이나 격론을 벌이고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
출자전환 이후에도 신규자금 지원에 엄청난 자금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점이 정부의 결단을 막고있다.
운영자금 하청업체 지원등 걷잡을 수 없는 자금소요가 발생할 것이라는게 당국과 채권단의 고민이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
빠르면 29일 열릴 채권금융기관 협의회에서 결론날 수도 있지만 시간이 더걸릴 수도 있다.
채권단 내부에서는 법정관리 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정부는 조기 출자전환,채권단은 법정관리로 맞서있는 형국이다.
법정관리후 출자전환과 조기 출자전환,신규자금 지원론이 맞선 꼴이다.
"정부 방침도 중요하지만 채권자들이 현대건설을 어떻게 할지가 더 중요하다"(이연수 외환은행 부행장)는 게 주채권은행의 공식 입장이다.
출자전환을 하더라도 신규 자금지원 등 채권금융기관들의 협조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선 채권단의 "동의"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전날만 해도 조기 출자전환으로 가닥을 잡았던 현대건설 해법은 이로써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고 말았다.
물론 "부도-법정관리-청산"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밟을 가능성은 작다.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워낙 파괴적이어라는게 그나마의 버팀목이다.
이번 주말부터 본격적으로 돌아오는 어음과 회사채를 막는 문제가 당장의 과제다.
출자전환으로 방향을 잡더라도 소액주주 감자(감자),채권금융 회사간 출자지분 문제 등 넘어야할 산이 적지 않다.
<>발등에 떨어진 불=이번주말 현대건설엔 1천억원대의 진성어음이 돌아온다.
4월과 5월엔 각각 1천1백억원 어치와 8백억원 어치의 어음이 만기다.
내달중 회사채 만기분도 7백억원에 달한다.
현대가 과연 자체 자금으로 이들 어음과 회사채를 막을 수 있을지 관건이다.
못 막으면 부도다.
채권단이 신규 자금을 지원해 대신 막아줄지도 확실치 않다.
외환은행은 "현대건설에 대한 신규자금 지원 여부도 채권단 회의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만약 합의가 되지 않으면 법정관리가 불가피하다.
일각에선 신용보증기금이 보증을 서고 현대건설이 CB(전환사채)를 발행해 급전을 마련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CB는 현대자동차 등 정씨 형제의 계열사가 인수토록 한다는 것.실현가능성은 크지 않다.
<>법정관리 가능성=유동성 위기를 돌파하는 대안중 하나로 법정관리가 거론된다.
우선 계속 돌아오는 채권부터 막고 난뒤 출자전환을 하더라도 한다는 얘기다.
법정관리를 신청하면 모든 채권-채무가 동결되기 때문에 숨 돌릴 시간을 벌 수 있다.
신규 자금 지원에 부담을 느끼는 채권단은 법정관리 쪽으로 기울어 있다.
출자전환을 순조롭게 하기 위해서도 법정관리가 유리하다는 지적도 있다.
출자전환을 하려면 소액주주들의 지분을 감자(감자)하고 채권금융회사들이 출자비율에 대해 합의해야 하지만 쉬운 문제가 아니다.
시간을 끌다 보면 현대건설 유동성 위기는 더욱 커질 수 있다.
때문에 법정관리로 채권-채무를 동결해 놓고 감자와 출자전환을 확실히 추진한다는 것이다.
<>출자분담 합의=출자전환을 한다면 최소한 1조원 이상은 해야 한다.
자산을 초과하는 부채가 9천억원이기 때문에 이를 모두 해소하고도 적정 규모의 자본금을 갖추기 위한 최소한의 수치다.
차제에 출자전환 규모를 2조원 이상으로 늘려 현대건설의 자립기반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이는 전적으로 채권단의 합의여부에 달렸다.
그러나 이해가 엇갈려 합의 도출이 쉽지 않은 처지다.
특히 은행들과 보험 증권 등 제2금융권간 갈등이 예상된다.
은행들은 출자전환 규모를 늘리려면 제2금융권도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제2금융권의 생각은 다르다.
잡아놓은 담보도 없다는게 2금융권의 호소다.
출자규모가 결정되더라도 금융회사간 출자비율을 어떻게 정하느냐도 논란거리다.
현재로서는 회사채를 제외한 순수 대출금 비율로 나눌 공산이 크다.
<>정부 입장=아직은 출자전환에 기대를 걸고있다.
그렇다고 내놓고 채권단을 몰아칠 수도 없다.
현대건설의 자본잠식과 적자 규모가 당초 예상보다 크다는 게 정부의 발목을 잡고있다.
결국 경제장관들이 4시간이나 격론을 벌이고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
출자전환 이후에도 신규자금 지원에 엄청난 자금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점이 정부의 결단을 막고있다.
운영자금 하청업체 지원등 걷잡을 수 없는 자금소요가 발생할 것이라는게 당국과 채권단의 고민이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