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에 대한 정부해법에 시장반응은 냉담했다.

외국인투자자들은 팔자를 유지하며 거부반응을 드러냈다.

특히 은행주들을 집중적으로 매도했다.

현대건설에 대한 추가자금지원등으로 채권은행들의 손실폭이 더욱 더 늘어날 것이란 판단때문이다.

<>엥도수에즈 W.I카증권 와이드버트 조사부이사=현대건설은 단기적으로 회생발판을 마련했다.

이번 조치는 최선책으로 볼 수 없다.

그러나 현대그룹이 경제에 미치는 파장을 고려할 때 정부나 채권단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은행들의 손실은 더욱 확대됐다.

또 현대건설의 상황을 감안할때 앞으로도 현대건설에 더욱 더 많은 자금을 쏟아부어야 한다.

현재 충당금 적립이 20%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손실폭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은행들이 현대건설외에 다른 계열사에도 자금을 지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은행들에 대단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ABN암로 아시아증권 마이클홀스버그지점장=현대건설 문제는 시장논리에 의해 오래전에 조치를 취했어야 했다.

정부가 과거 현대건설이 추진해온 대북사업등에 대해 갖고 있는 채무감을 채권단에 떤넘겼다는 생각이다.

이번 조치는 채권단들에 막대한 손해를 끼칠 것으로 보이고 은행들의 신용을 크게 떨어뜨렸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은행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추정이 힘들다.

출자전환금액이나 신규여신규모가 어떻게 정해졌고 어떤 투자회수과정을 거칠 것인지 정보가 없다.

<>ING베어링 목영충이사(금융담당애널리스트)=올초 현대건설에 대한 추가여신제공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됐었다.

출자전환은 충분히 예상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신규여신은 채권은행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지원규모도 예상보다 훨씬 많다.

이번 조치가 현대건설 회생의 발판이 된다는데는 부정적이다.

정부와 채권단은 회사의 현금흐름이 좋아지면 영업이익을 낼 것처럼 주장한다.

그러나 건설경기 전망이 나쁜데다 현대건설의 재무구조 투명성등에 대한 의문이 여전히 걷히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경영진교체나 대주주지분소각을 빼고는 아무런 가시적인 회생계획도 나오지 않고 있다.

이번 신규지원외에 채권은행들이 앞으로도 현대건설과 현대계열사를 계속 책임져야 한다는게 더욱 더 문제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