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영은 어렵다고들 말한다.

웬만한 고차 방정식보다 복잡하고 난해하다.

하물며 파산 위기에 처한 기업이나 금융회사를 회생시키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부실 판정후 채권단의 자금 지원을 받은 기업이 최고경영자를 쉽게 찾지 못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누가 선장(최고경영자)이 되느냐에 따라 배(회사)의 운명이 좌우된다.

서울보증보험 박해춘(53) 사장.

그는 침몰 위기에 처한 선박을 구조하라는 국가의 특명을 받고 투입된 "용병"이었다.

지난 98년 11월 23일 오후 6시.

삼성화재 상무였던 그는 막 퇴근을 하려던 참에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당시 금융감독위원장이던 이헌재씨였다.

"내일 사표 내고 통합보증보험사를 정상화하는 일을 맡아 달라"는 통보였다.

이미 사장(배정충 현 삼성생명 사장)에게 양해를 구했다는 얘기도 뒤따랐다.

다짜고짜였다.

일면식도 없는 금감위원장으로부터 일방적인 "지시"를 받은 만큼 박사장은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다.

처음에는 미래에 대한 아무런 보장 없이 무거운 짐만 떠맡는 것 아니냐는 느낌이 들었다고 박 사장은 말했다.

23년동안 몸 담았던 좋은 직장에 대한 미련도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어려움에 처한 보증험사를 살릴 수 있는 적임자로 정부가 자신을 선택했다는 사실에 가슴이 뿌듯했다.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손해보험사에서 보험수리와 마케팅쪽에서 잔뼈가 굵은 그였지만 이렇게 어려운 문제를 접한 적은 없었다.

박 사장은 복잡할수록 간단명료하게 생각하자고 다짐했다.

그래야 답을 찾을 수 있는게 수학의 근본원리.

그런 믿음에서 공룡 부실의 대명사였던 서울보증보험 사장으로 새 삶을 시작하게 됐다.

사장 자리에 앉고 보니 어디부터 손을 써야 할 지 막막했다.

신용을 파는 보증회사로서 가장 중요한 공신력을 잃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한.한국보증보험 계약 가운데 서울보증이 대신 지급해야할 돈만 4조원에 달했다.

기업 도산이 속출하는 상황에서 회사채에 대한 보증잔액만 71조원이었다.

보증 선 회사채중 서울보증이 책임져야 할 금액이 얼마나 될지 누구나 알 수 없었다.

박 사장은 무엇보다 보험금을 지급하기 위한 재원을 마련해야겠다고 판단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보증회사의 명맥조차 이어갈 수 없었다.

달리 뾰족한 방법을 찾을 수 없어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다.

99년 6월 정부는 1조2천5백억원의 공적자금을 이 회사에 투입했다.

공적 자금을 받은 회사의 최고경영자는 형사.민사.상법상 책임을 져야 한다.

더 큰 부담을 안게 된 것이다.

그리고 주주사인 생명.손해보험사로부터 4천억원을 추가로 받았다.

같은 해 8월 23일 대우가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정부는 대우 회사채에 9조원 가량을 보증한 서울보증에 6조원을 추가 지원했다.

국민의 혈세를 끌어다쓰기 앞서 박 사장은 회사의 체질개선 작업을 강도 높게 추진했다.

1천7백84명의 임직원을 7백92명으로 줄였다.

임금은 30% 이상 삭감했다.

점포도 88개에서 44개로 축소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지난 2년간 1천2백25억원의 비용을 절감했다.

다음으로 부실화의 원인을 없애는데 힘썼다.

리스크 산정이 곤란한 사업(보증)은 과감하게 중단했다.

회사채에 대한 보증영업을 끊은게 대표적인 사례.

통합 당시 71조원이던 회사채 보증 잔액이 작년말 10조원으로 감소했다.

수리에 밝은 박 사장은 손해율을 근본적으로 낮추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손해율을 낮추지 않고 사업 수지를 맞출 수 없기 때문이었다.

과학적 리스크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보증심사를 강화했다.

서울보증 출범 이후 신규 보험계약의 손해율은 작년말현재 26.0%로 출범전 같은 기간보다 무려 1백37.4%포인트나 떨어졌다.

물론 정부가 대주주인 회사라고 해서 채권회수(구상)를 소홀히 할 수 없었다.

때론 인정사정 보지 않고 온갖 방법을 동원했다.

99년 6월30일 삼성자동차가 법정관리를 신청했을 때도 박 사장은 이 원칙을 지켰다.

2조1천억원에 달하는 삼성차 회사채 대지급 문제를 둘러싸고 특유의 뚝심으로 친정인 삼성과 맞서 싸웠다.

삼성생명 주당 주식 가치를 70만원으로 잡은 삼성에 이를 그 값에 되사갈 것을 집요하게 요청했다.

그렇지 않으면 상장된 삼성 계열사 주식으로 바꿔 줘야 한다고까지 주장했다.

삼성측의 어려움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국민의 세금을 운영되는 보증회사를 이끄는 공인으로 어쩔 수 없었다고 박 사장은 당시 상황을 설명한다.

공적자금을 받은 죄인 아닌 죄인으로서 박 사장은 때론 좌절감을 느낄 때도 적지 않았다.

자신을 발탁한 이헌재씨를 원망하기도 했다.

그럴 때마다 위기 후에 반드시 기회가 있다는 점을 되새겼다.

회사를 정상화한 후 무엇을 하고 싶으냐는 질문에 자신의 좌우명인 진인사 대천명(盡人事 待天命)으로 답을 대신했다.

그는 불교 신자다.

보증보험을 살리는 업무를 자신의 숙명으로 여기고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했다.

이익원 기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