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홈쇼핑 사업자 3곳이 추가로 선정됨에 따라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될 것이라는 홈쇼핑시장이 본격적인 경쟁시대에 접어들게 됐다.

모두 7백여개 업체들이 참여한 12개의 컨소시엄이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기 때문에 선정결과에 불만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 홈쇼핑사업을 건전한 ''안방시장''으로 육성 발전시키기 위해 앞으로 해야할 일이 더 급하다.

TV홈쇼핑 시장규모는 올해 1조원대로 해마다 50% 이상 고성장을 거듭해 2005년에는 6조9천억원(삼성경제연구소 전망)에 이를 정도로 낙관적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이같은 기대와는 달리, 반품률(15%)이 높고 방송제작 및 송출비용 등 고정비용도 만만치 않아 앞으로 5개 사업자가 무한경쟁을 벌일 경우 부실화 될 가능성도 크다.

자본과 인력 등에서 경쟁력이 약한 한두개 업체는 39쇼핑이 제일제당에 넘어간 것처럼 대기업에 인수합병될 가능성도 있다.

언제부터인가 우리 업계에는''정부선정 사업=돈''이라는 공식이 통용되고 있다.

사업권을 따기만 하면 주가가 떠 차익을 챙길 수 있고 장사가 안되더라도 고액의 프리미엄을 받고 사업권을 비싼 값에 매각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TV홈쇼핑 사업 역시 예외가 아니다.

정부는 이같은 폐단을 막기위해 사업자 재승인 기간인 3년동안 주주를 바꾸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받아놨다지만 이는 법적 구속력이 없고, 통합방송법에 따르더라도 사업권 획득 후 다수사업자들의 자본이전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과당경쟁에 따른 시장실패는 또다시 산업구조조정이라는 절차를 밟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일반소비자들에게 피해가 돌아가게 된다.

정부는 5개 경쟁업체가 전문분야별로 특화된 영업전략을 펴 공존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TV홈쇼핑 사업을 ''현 정부 마지막 이권사업''이란 관점에서만 접근한다면 앞으로 많은 낭비와 시행착오를 피할수 없다.

TV홈쇼핑이 크게 늘고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 우리의 홈쇼핑문화는 거북이 걸음을 하고 있다.

사업자간 과당경쟁으로 인한 폐해 말고도 충동구매, 사치.과소비 유발, 배달지연, 제품결함에 대한 배상문제, 개인정보 누출, 프로그램의 선정성 등 문제가 한둘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수백개의 홈쇼핑업체들이 전국 9백여개의 중계유선방송을 통해 불법 홈쇼핑광고를 내보내도 규제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TV홈쇼핑의 본격적인 경쟁체제 도입과 함께 건전한 홈쇼핑문화의 정착을 위한 관련법 정비가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