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경쟁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해선 우선 금융지원이 선행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한국 해외프로젝트의 간판격인 ''빅3''가 몰락한 상황에서 그동안 쌓아온 시공경험과 능력을 영원히 사장시키지 않기 위해선 ''특별펀드''를 만들어서라도 해외발주처들이 안심하고 한국업체에 공사를 맡길 수 있도록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얘기다.

해외건설협회의 손문덕 진출지원실장은 "수익성이 검증된 프로젝트는 기업의 신용에 관계없이 신속한 보증을 해줄 수 있는 금융시스템을 정착시켜야 한다"며 "빠른 의사결정을 위해 금융기관 실무자들의 면책범위도 명확하게 해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손 실장은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별도정산계정(AC) 도입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역외보증기구''의 설립도 서둘러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99년 8월께 발주처의 복보증 요구 해소와 선진보증기법을 통한 안정적인 보증발급을 위해 역외보증기구 설립을 결정했지만 아직 국내외 투자자를 모집하지 못하고 있다.

이춘희 건설교통부 건설경제국장은 "중동의 경우 유가상승으로 공사발주량이 1999년 3백40억달러에서 작년에는 5백50억달러로 급증했고 금년에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국내금융지원시스템이 빨리 복원돼야 호기를 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경제연구소 관계자는 "SK건설이 독일 지멘스와 제휴해 멕시코에 진출한 것처럼 선진기업과 핵심기술 개발 및 시장개척을 공동 추진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며 "개발도상국의 현지화 정책에 부응해 로컬업체와의 제휴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일훈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