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환율급등에 따른 협력업체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외환 리스크 관리기법을 전수해주는 등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4일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협력업체 가운데 수입부품 사용비중이 높은 업체의 경우 환율상승으로 상당한 부품단가 인상 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원가관리 차원에서 이들에 대한 지원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협력업체의 경우 환리스크에 대한 자체관리 능력을 갖추지 못해 환율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자칫 완성차 가격의 인상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어 이같은 방침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현대는 협력업체 지원방법으로 환리스크 관리 기법의 전수를 우선 추진키로 했다.

또 환율이 계속 올라가 완성차 수출부문에서 환차익이 크게 발생하면 이를 재원으로 협력업체를 간접 지원해주는 방안도 모색키로 했다.

현대자동차는 달러로 결제하는 수출비중이 높아 현재와 같은(1천3백50원대) 환율이 유지되면 상당한 규모의 환차익을 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회사는 그러나 환율의 변동폭이 워낙 커서 올해 환차익이 얼마나 발생할지는 미지수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지난해 2백20억7천만원의 환차익을 봤으나 99년에는 66억9천7백만원의 환차손을 기록했었다.

현대자동차는 지원방침이 결정되는 대로 협력업체들의 수입부품 사용비중 등에 대한 정밀실사를 거쳐 지원방법과 시기를 결정할 예정이다.

현대 협력업체 중에서는 인젝션펌프 등 엔진관련 부품을 납품하는 업체와 열대지방 수출차 등 특수차량을 만드는데 필요한 부품을 만드는 업체들이 수입부품 사용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 고문수 상무는 "완제품이나 모듈에 들어가는 원자재와 부속품을 수입하는 자동차부품 업체들이 환율인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현대자동차의 조치는 크게 환영할 만한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는 이와 함께 이미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자동차의 경우 대당 약 10만원 정도의 납품가격 인상요인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이를 어떻게 흡수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작업도 벌이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일단 환율상승에 따른 차값 인상요인을 소비자들에게 직접 전가하는 방식은 피하겠다는 기본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