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요금 인상 여부를 두고 건설교통부와 재정경제부 등 정부 부처간에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5일 건교부 관계자는 "택시 요금 조정권을 쥐고 있는 각 지방자치단체에 "조속한 시일내 적정 수준의 요금조정 실시"를 독려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지난 98년 이후 동결상태인 택시요금을 계속해서 묶어두는 것은 노사갈등과 서비스 악화의 원인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이 관계자는 "지난 3년간 LPG(액화석유가스) 가격이 29.3% 올랐고 물가는 9.1%,근로자 임금은 11.3% 상승하는 등 22~58% 정도의 택시요금 인상 요인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부터 택시업계에서 중형택시는 20~36%,모범택시는 40% 씩 각각 요금을 인상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요구해왔다는 것. 재경부는 그러나 택시요금 인상을 완강히 반대하고 있다.

최근 환율급등과 교육비 부담 증가 등으로 물가관리에 비상이 걸린 상태에서 공공요금을 인상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택시요금을 인상할 경우 이용객이 감소해 업계 수입증대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서비스 수준의 향상도 장담하기 어렵다"며 "일률적인 요금 인상보다는 택시의 종류를 다양화하고 고급화한 뒤 요금을 차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