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뜸했던 화염병 시위가 최근들어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여간 걱정스럽지 않다.

경찰통계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3개월동안 화염병 시위는 모두 15차례로 지난 3년간 발생한 것(16건)과 맞먹는다고 한다.

더구나 요즈음 인터넷 사이트에는 기존 화염병에 비해 훨씬 위험한 신종 화염병 제조법들이 소개되고 있다니 참으로 경악할 일이 아닐수 없다.

정부는 화염병 투척 전력자에 대해 학사관리나 취업과정에서 불이익을 받도록 하는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화염병이 사용된 집회의 신고책임자도 공동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안까지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행단계에서 구체적인 적용 방법 등에 대해 충분한 검토가 뒤따라야 하겠지만 화염병 시위의 근절을 위해 강력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데 대해 이론이 있을수 없다.

화염병 시위는 인명을 해치고 국가질서를 파괴하는 폭력행위로 근절돼야 마땅한 범죄행위다.

사람이 다치고 교통이 마비돼 시민불편이 가중되는 것에 그치는게 아니라 국가 신인도를 추락시켜 경제를 불안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도심 한복판에서 마치 전쟁터와 같은 급박한 상황이 벌어지고,그것이 전파를 타고 해외에 전해 질 때 외국인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불문가지다.

관광객들은 발길을 돌릴 것이고, 우리나라에 투자한 외국인들은 자본철수를 고려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노동계 등의 화염병 시위는 올해 초 대우자동차 부평공장근로자 해고를 계기로 시작됐다.

구조조정의 진행과정에서 일자리를 잃게 된 근로자들의 절박한 처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않는 불법 과격시위는 자제되어야 마땅하다.

가뜩이나 작금의 국내외 경제여건은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울 만큼 불안한 양상이 지속되고 있다.

세계적인 경기후퇴와 금융경색이 가속화되면서 환율급등과 물가불안 우려가 짙어지고, 수출이 감소하는가 하면 주가는 곤두박질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이런 때에 화염병 투척 등 불법 과격시위로 국가신인도가 추락해 경제가 더욱 어려워진다면 어떤 결과를 가져오겠는가.

정부는 합법적인 테두리내에서의 시위는 철저히 보호하되 불법 과격시위에 대해 좀더 단호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어떤 명분으로도 법 질서 파괴행위는 용납되어선 안된다.

불법 폭력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정부의 약속이 처음은 아니다.

이제는 말보다 실천으로 보여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