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노사 현장을 가다] (19) 영풍기계, '부도위기' 믿음으로 극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9월1일 오전 경북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영풍기계(대표 조부평) 회의실.
창립 13주년을 기념하는 조촐한 잔치가 벌어졌다.
경영진과 근로자들이 기사회생한 영풍기계의 끝없는 발전과 번영을 기원하며 제2의 노사대화합을 선언했다.
지난 87년 설립된 이 회사는 우여곡절의 연속이었다.
창업주가 방만한 투자를 하다 지난 95년 5월 부도위기에 휩싸였다.
당시 현대정공(현대모비스) 중국 칭다오 대표를 맡고 있던 조부평 현 사장과의 인연은 여기서 시작됐다.
조 사장은 부도 직전의 영풍기계를 인수,회생작업에 들어갔다.
모든 부실요인에 대해 현장사원들과 함께 문제점을 하나하나씩 풀어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IMF 위기로 물거품이 되어버렸고 또 다시 부도직전의 위기에 휘말렸다.
이번에는 근로자들이 보답했다.
회사측과 교섭없이 임금을 동결하고 상여금의 절반을 회사측에 반납했다.
회사는 창사 이후 가장 어려운 때를 겪으면서 굳건히 쌓여진 노사간 신뢰를 바탕으로 작업환경 개선과 철저한 품질관리,원가절감운동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모든 노력을 경주했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영풍기계는 무분규 무재해 사업장의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노사협의회에서 임금인상 6%의 무교섭 타결을 이끌어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창립 13주년을 기념하는 조촐한 잔치가 벌어졌다.
경영진과 근로자들이 기사회생한 영풍기계의 끝없는 발전과 번영을 기원하며 제2의 노사대화합을 선언했다.
지난 87년 설립된 이 회사는 우여곡절의 연속이었다.
창업주가 방만한 투자를 하다 지난 95년 5월 부도위기에 휩싸였다.
당시 현대정공(현대모비스) 중국 칭다오 대표를 맡고 있던 조부평 현 사장과의 인연은 여기서 시작됐다.
조 사장은 부도 직전의 영풍기계를 인수,회생작업에 들어갔다.
모든 부실요인에 대해 현장사원들과 함께 문제점을 하나하나씩 풀어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IMF 위기로 물거품이 되어버렸고 또 다시 부도직전의 위기에 휘말렸다.
이번에는 근로자들이 보답했다.
회사측과 교섭없이 임금을 동결하고 상여금의 절반을 회사측에 반납했다.
회사는 창사 이후 가장 어려운 때를 겪으면서 굳건히 쌓여진 노사간 신뢰를 바탕으로 작업환경 개선과 철저한 품질관리,원가절감운동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모든 노력을 경주했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영풍기계는 무분규 무재해 사업장의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노사협의회에서 임금인상 6%의 무교섭 타결을 이끌어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