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직원 IHIC 주가 시세조종 의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그룹 현직 직원 등이 포함된 작전세력이 코스닥의 IHIC(옛 신안화섬)의 주가 시세를 조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검찰이 조사중인 IHIC 시세조종에 관련된 계좌의 금액은 약 20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삼성언론재단은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정과장을 재단 운영자금 수십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현재 구속수사중이나 횡령자금이 IHIC 주가조작에 이용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해 앞으로의 검찰 조사결과가 주목된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금융감독원이 올해초 증권업협회로부터 IHIC의 시세조종 관련 자료를 넘겨받아 구체적인 혐의를 잡았다"며 "금감원이 조만간 조사를 마치고 검찰에 관련자들을 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IHIC 시세조종에 가담한 세력의 명단에는 삼성언론재단의 현직 과장 등이 포함돼 있다"면서 "작전세력이 IHIC의 주가를 끌어올려 시세조정에 나선 시점은 이 회사의 주가가 폭등했던 지난해 10월께"라고 밝혔다.
주가조작은 삼성언론재단의 정준호 과장이 재단 공금을 빼돌려 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에 등록돼 있는 IHIC는 삼성그룹 구조조정본부 재무팀에서 e-삼성 등 인터넷 사업을 추진하던 이성주(현 IHIC대표)씨가 인수했다.
이 회사의 주가는 A&D(인수후 개발)에 나선다는 재료를 바탕으로 지난해 10월초 1만6천원(액면가 5백원)에서 11월10일에는 12만5천원까지 급등,한달여동안 10배 이상이 올라 주목을 받았었다.
이에 대해 삼성언론재단은 이날 "정과장이 횡령한 기금중 6억9천만원을 몇몇 지인들에게 빌려줬고 이들이 이 돈으로 IHIC에 투자했다는 것이 현재까지 밝혀진 내용"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정과장은 또 횡령한 자금으로 7억원 상당의 빌라 등 부동산과 주식에 투자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삼성언론재단은 정씨가 개인적으로 보유한 재산내역을 조사,가압류조치를 취하는 한편 정씨 보유주식의 명의를 재단명의로 변경하는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
검찰이 조사중인 IHIC 시세조종에 관련된 계좌의 금액은 약 20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삼성언론재단은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정과장을 재단 운영자금 수십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현재 구속수사중이나 횡령자금이 IHIC 주가조작에 이용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해 앞으로의 검찰 조사결과가 주목된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금융감독원이 올해초 증권업협회로부터 IHIC의 시세조종 관련 자료를 넘겨받아 구체적인 혐의를 잡았다"며 "금감원이 조만간 조사를 마치고 검찰에 관련자들을 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IHIC 시세조종에 가담한 세력의 명단에는 삼성언론재단의 현직 과장 등이 포함돼 있다"면서 "작전세력이 IHIC의 주가를 끌어올려 시세조정에 나선 시점은 이 회사의 주가가 폭등했던 지난해 10월께"라고 밝혔다.
주가조작은 삼성언론재단의 정준호 과장이 재단 공금을 빼돌려 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에 등록돼 있는 IHIC는 삼성그룹 구조조정본부 재무팀에서 e-삼성 등 인터넷 사업을 추진하던 이성주(현 IHIC대표)씨가 인수했다.
이 회사의 주가는 A&D(인수후 개발)에 나선다는 재료를 바탕으로 지난해 10월초 1만6천원(액면가 5백원)에서 11월10일에는 12만5천원까지 급등,한달여동안 10배 이상이 올라 주목을 받았었다.
이에 대해 삼성언론재단은 이날 "정과장이 횡령한 기금중 6억9천만원을 몇몇 지인들에게 빌려줬고 이들이 이 돈으로 IHIC에 투자했다는 것이 현재까지 밝혀진 내용"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정과장은 또 횡령한 자금으로 7억원 상당의 빌라 등 부동산과 주식에 투자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삼성언론재단은 정씨가 개인적으로 보유한 재산내역을 조사,가압류조치를 취하는 한편 정씨 보유주식의 명의를 재단명의로 변경하는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