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이 당초 계획대로 정부채 조기상환(Buy Back)을 추진하고 나섬에 따라 국제금융시장에 큰 변화가 일고 있다.

미국은 재정수지흑자를 기록한 지난 98년부터 지금까지 3천7백억 달러의 정부채를 조기에 상환했다.

미 의회예산국(CBO) 자료에 따르면 오는 2010년까지 약 2조6천억 달러의 정부채를 추가적으로 조기 상환한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미국이 정부채를 조기상환하고 있는 것은 막대한 규모의 재정흑자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90년대초 쌍둥이 적자에 시달렸던 미국이 지난 10년간의 장기호황과 클린턴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건전화 노력으로 이제는 회계연도마다 2천억달러 정도의 흑자를 기록할 만큼 재정건전국이 됐다.

이처럼 미국이 정부채를 계속 조기상환해 나갈 경우 관심이 되고 있는 것은 미 정부채에 투자했던 자금들이 어떤 대체 투자수단에 옮겨갈 것인가 하는 점이다.

현재 세계 모든 금융자산중 미 정부채가 안정성과 환금성을 모두 갖춘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미 정부채에 투자한 자금은 각국의 외환보유고와 연기금 자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런 자금들이 조기상환에 따라 미 정부채에 투자하지 못할 경우 가장 먼저 대체할 수 있는 투자수단으로는 미 정부채와 맞먹을 정도의 안전자산으로 분류되고 있는 미 정부기관채나 세계은행과 국제결제은행들이 발행하는 국제기구 채권을 꼽을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유로채,사무라이채와 같은 선진국 채권들이다.

이렇게 해서 남은 투자자금이 있을 경우 초우량기업의 회사채와 세계증권시장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미 정부채 조기상환에 따라 투자자금이 이동할 경우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저금리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 정부채 상환과 대체수단으로서의 채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 채권수익률은 떨어지기 때문이다.

대체자금이 세계증시에 유입될 경우 증시회복을 앞당길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미 정부채 조기상환자금이 미국내에서 전부 흡수되지 못할 경우 미국으로부터 자금이 이탈,미 달러화가 약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

현재 미 정부채 투자자금의 약 40%는 미국 국외의 투자자들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미 정부채보다 안정성과 환금성이 떨어지는 다른 대체수단으로 투자자금이 이동됨에 따라 국제금융시장의 위험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위험을 평가하는 기관과 위험을 관리하는 업종이 부각되면서 금융시장의 중층적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미 의회예산국이 조기상환 계획을 그대로 이행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의문점이 있다.

하나는 미국 경제 전망을 감안할 때 앞으로 미국이 지금처럼 막대한 재정흑자를 기록할 수 없게 되는 상태다.

다른 하나는 부시 정부가 정부채 조기상환보다 세금감면책을 통해 미 국민들에게 재정흑자의 혜택을 주는 쪽에 더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미 정부채 조기상환물량은 줄어들 것으로 보이나 미국이 정부채를 축소하는 노력은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투자자들이 미 정부채 조기상환에 따라 최근 일고 있는 국제금융시장의 변화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