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도 모르게 사탕 초콜릿 등에 손이 가는 이유는 뭘까"

이러한 의문을 근본적으로 풀어 줄 "단맛을 느끼게 하는 유전자"가 최근 미국 연구팀에 의해 발견됐다.

미국 하버드대 의과대학과 마운트시나이 의과대학 연구팀은 쥐 연구를 통해 사람 혀에 있는 미각 수용체가 단맛을 감지할 수 있게 만드는 유전자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쥐 연구 결과와 최근 완성된 인간게놈지도를 이용,이같은 유전자를 찾아내 "T1R3"으로 이름지었다.

두 연구팀은 설탕물을 유난히 좋아하는 쥐들과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 쥐들의 유전구조 차이를 조사한 결과 단맛에 민감한 쥐들은 "단맛 감지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단맛에 둔감한 쥐들은 변이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단맛을 감지하는 미각 수용체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의 로버트 마골스키 박사는 "현재의 인공 감미료들은 우연히 개발된 것이 대부분"이라며 "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단맛 감지 수용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뛰어난 인공감미료를 만드는게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단 음식과 관련이 깊은 비만,당뇨병에 대한 연구와 다이어트 방법 개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