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시 소재 면방업체 P사.

이 회사는 지난 한달간 거의 매일 요금연체로 가스공급을 중단하겠다는 가스업체와 실랑이를 벌여왔다.

지난겨울 원료 가공및 난방용으로 사용한 가스요금 9백만원을 넉달째 못주고있기 때문이다.

P사는 극심한 불황으로 제때 매출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급기야 가스요금까지 내지못할 정도로 심각한 자금난에 봉착한 것이다.

P사로서는 가스 공급이 중단될 경우 당장 공장을 가동할 수 없는 처지다.

가스회사도 거래선이 문을 닫으면 요금을 완전히 떼일 수 밖에 없기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2달간 연장 해 줄 수밖에 없었다.

불황을 맨 나중에 탄다는 가스 통신 전기 수도 등 공공 요금들의 연체가 급증하고 있다.

올들어 중소 영세업체들의 부도와 개인 파산이 잇따르면서 생활 필수재를 공급하는 ''유티리티''사업까지 악전고투하고있는 것이다.

23일 관련업계 및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도시가스의 경우 전국적으로 연체가 급증하는 바람에 전체 도시가스업계가 채산성 악화로 몸살을 앓고있다.

국내 최대 도시가스업체인 삼천리의 경우 지난 3월말 현재 연체금액이 3백9억9천만원으로 작년말(1백21억8천만원)보다 무려 1백54.4%나 급증했다.

올해 1·4분기 매출(4천4백억원)의 7%에 해당하는 요금을 제때 받지못하고 있는 셈이다.

회사 관계자는 "일반 가정용 난방요금의 연체가 2백% 이상 늘어난데다 중소기업들의 자금 악화로 업무용·산업용 요금 미납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남과 경기도 남부권역에서 가스를 공급하고 있는 대한도시가스 역시 작년말 30억9천2백만원에 달했던 연체금액이 87억6천만원으로 불어났다.

작년엔 85% 선이던 납기내 징수율도 75%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이동통신 요금도 마찬가지.

''강제'' 해지건수도 월 30만건을 넘어서고 있다.

지난 3월의 경우 요금을 제때 내지 않아 이동통신회사들이 직권으로 해지한 건수는 30만4천건,2월에는 32만7천건에 달했다.

이동통신해지 급증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시장점유율을 낮춰야하는 SK텔레콤과 신세기통신의 전략해지(?)등 업계 내부사정도 상당부분 작용하고있지만 SK텔레콤 관계자는 "기업및 가계파산으로 요금연체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이 서비스 중단의 주된 요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3월중 요금부담등을 이유로 가입자들이 스스로 해지한 일반해지도 크게 늘어 강제해지를 합친 총 해지건수가 월 70만건을 넘어선 상태다.

전기와 수도사업자들도 요금연체로 영업에 타격을 받고있다.

한국전력의 지난 2월말 연체금액은 7백50억원으로 작년말(6백억원)보다 25% 가량 늘어났으며 서울시 상수도 사업본부의 미수납액(2월말 기준)도 작년말에 비해 7억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수도요금이 소액이긴 하지만 개인들의 씀씀이가 위축되면서 서울을 비롯한 각 지자체들의 연체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단전·단수를 둘러싸고 사업자와 수요자간 마찰도 잦아지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두번의 독촉기간내에도 체납 요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전기를 끊고있지만 가입자들의 반발이 워낙 심해 징수대행업체들이 곤욕을 치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연초부터 경기상황을 감안해서 중소기업공장이나 업무용 빌딩에 대해선 가능한 ''협상''을 통해 납부기한을 연장해주고 있지만 중소기업이 많이 몰린 공단지역의 경우 한꺼번 연체가 몰려있어 납기연장이 곧 한계에 이를것"이라며 걱정했다.

조일훈 기자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