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중국 CDMA(부호분할다중접속)장비 공급권을 따냈다고 보도된 뒤 정보통신업계의 반응은 엇갈렸다.

삼성전자가 상하이 톈진 등 이른바 ''노른자위''를 차지했다고 평가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지난 3년간 기울인 노력에 비하면 성과가 미흡하다고 비판하는 이도 있었다.

"대통령특사를 두번이나 보낼 필요가 있었느냐"고 꼬집는 이도 있었다.

그런데 이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문제가 있다.

기존 체제로는 정부가 통신업체들의 해외시장 개척을 제대로 지원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중국 IT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는데도 정통부 공무원이 단 한명도 중국에 상주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대표적인 사례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CDMA 때문에 중국에 대통령특사를 보낼 때마다 통신업체의 모 경영인이 다리를 놓으러 따라가야 하는 현실이 우습지 않으냐" "정통부가 과학기술부 파견 공무원을 통해 중국정부와 접촉하고 동향을 파악하고 있다니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정통부 관계자는 "IT산업이란 용어가 존재하지도 않던 체신부 시절이나 지금이나 우리 부 해외주재관은 단 2명 뿐이다"면서 "이러다보니 SI(시스템통합)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타 부처 공무원이 외국의 초대형 SI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IT산업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로 높아졌고 중국과 중동에서 IT붐이 시작됐는데도 우리는 2명의 주재관에 의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에 정보통신 비서관이 없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현재 정보통신정책에 관해서는 재경부에서 파견된 비서관이 대통령을 보좌하고 있다.

그러나 IT산업이 초고속으로 변하고 있어 전문 식견 없이는 제대로 보좌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있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IT산업이 GDP(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7년 8.6%에서 지난해 12.9%로 높아졌고 GDP 기여도는 90년 4.5%에서 지난해 50.5%로 높아졌다"면서 "정보강국 ''e코리아''를 건설하려면 IT를 아는 사람이 대통령을 보좌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광현 IT부 기자 kh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