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보기술) 업계의 과당경쟁을 막고 시장질서 왜곡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최근 정보통신부가 초고속인터넷 시장의 과열경쟁을 방지하기 위해 실태 파악에 나선 것이 좋은 사례로 꼽힌다.

정통부는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업체가 약관을 위반하고 부당한 우대조건을 제시한 경우 과징금 부과 등 강력히 제재하기로 했다.

이용석 예스컴 사장은 "관공서나 대기업 입찰에서 원가보다 훨씬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일이 없도록 정부가 공정거래법 위반 여부를 꾸준히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업계의 자율적인 자정 노력도 중요하다.

요즘 들어 과당경쟁이 심해진 NI(네트워크 통합) 업계의 경우 시장을 주도하는 몇몇 업체 사장들이 모여 시장질서를 회복하는데 힘쓰기로 결의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출혈경쟁은 결국 공멸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분야별로 구성된 협회나 협의회를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시장질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최저가를 써낸 업체를 선정하는 기존 입찰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김창범 해커스랩 사장은 "수주가격이 낮으면 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술평가 등을 거쳐 우선협상 대상 업체를 선정한 뒤 가격조건을 맞추는 형태로 공공기관과 기업의 입찰 시스템을 바꾸면 출혈경쟁의 폐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IT 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기존 인력을 재교육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또 무분별한 스카우트 경쟁을 막을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콤텍시스템 우경일 기술연구소장은 "우수한 기술인력이 수많은 군소 업체에 흩어져 지금처럼 무모하게 경쟁을 벌여서는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며 "자율적 구조조정을 거쳐 개발력을 한데 모으는게 급선무"라고 설명했다.

정종태.김남국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