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상당수 여권의원들의 불참으로 총리 해임건의안이 자동폐기된데 이어 방탄국회 공방까지 겹쳐 ''5월정국''이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여야는 1일 해임건의안 무산에 따른 국회파행 사태의 책임을 서로에게 전가하며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한나라당은 "민주당이 지난달 30일 본회의에서 의원들을 선별해 일부를 투표에 불참케 한 것은 명백한 편법·부정투표"라고 주장한후 5월 임시국회에서 국회파행의 책임추궁을 거듭 강조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기권도 엄연히 법에 보장된 권리"라며 반론을 편뒤 5월 국회는 ''방탄국회''인 만큼 절대 응할 수 없다고 맞서 접점을 찾지 못했다.

한나라당 권철현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시대를 역행하는 ''야합정치''에 더이상 속을 수 없다.

국회 파행으로 의회민주주의를 파괴시킨 여당 총재와 대표는 사퇴해야 한다"며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이어 "여권이 이번 임시국회 의사일정에 합의하지 않을 경우 6월 국회에서 총리 및 행정자치부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을 다시 제출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이에 대해 민주당과 자민련은 "5월 임시국회는 안기부 자금사건의 핵심인사인 강삼재 부총재와 병역비리 수사로부터 자당의원들을 보호하려는 조치"라며 강하게 비난했다.

이같은 정치쟁점 외에도 대우차 사태에 따른 노동계 춘투,한나라당 하순봉 김호일 신현태 안영근 의원 등에 대한 선고공판,언론사 세무조사 결과 발표 등이 줄을 잇고 있어 여야간 힘겨루기는 복잡한 양상을 띨 전망이다.

그러나 여야 모두 장기대치에 대한 비판 여론에 부담을 갖는데다 민주당도 선별적으로 상임위 활동을 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일정한 냉각기를 거친 5월 중순께 정국정상화 협상이 시작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김형배 기자 k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