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중 수출이 전달에 이어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는 것도 문제지만 감소폭이 26개월만에 가장 큰 9.3%에 달했다는 것은 충격적이기까지 하다.

이대로 가다간 수출감소 현상이 구조화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4월중의 수출 감소는 어느정도 예상됐던 일이기는 하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지속적으로 하강곡선을 그려오던 수출증가율이 지난 3월에는 23개월만에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고 그 이후로도 뚜렷한 개선조짐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소율이 전달의 5배 이상에 달했다는 것은 분명 예사로운 일이 아니며 특히 우리 수출의 새로운 버팀목이라 할수 있는 반도체와 컴퓨터 수출이 무려 30%나 줄어들었다는 것은 그냥 보아넘길 일이 아니다.

지난달 무역수지가 10억5천3백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는 것도 그 배경이 수입의 급감(16%)에 의한 것임에 비추어 반가운 일만은 아니다.

소비재 수입은 10.1% 증가했지만 원자재와 자본재 수입이 각각 20.1%와 23.4%씩 감소했다는 것은 국내 생산과 설비투자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증거라고 할수 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워싱턴에서 날아든 미국 무역대표부의 ''슈퍼 301조 통상보고서'' 내용 역시 대미 수출과 관련,우리의 마음을 어둡게 한다.

이 보고서는 한국을 지식재산권 부문에서 ''우선감시대상국''으로 지정하고 보조금 부문에서는 한국정부의 현대전자 지원을 문제삼고 있다.

앞으로 협상을 통해 미국의 불만사항이 해결되지 않으면 무역보복을 가하겠다는 것이다.

부시정부 출범이후 미국의 대한 통상공세가 처음으로 공식문서를 통해 가시화된 셈이다.

이처럼 우리의 수출전선에는 먹구름이 몰려들고 있는데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 문제다.

정부는 하반기 수출입 회복 전망 등을 좀더 지켜보면서 추가적인 대응책 마련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하지만 언제까지나 미국과 일본의 경기가 살아나기만을 기다리며 손을 놓고 있을수도 없는 노릇이다.

정부는 지난 4·3 경제장관간담회에서 무역사절단 파견을 주내용으로 하는 수출마케팅 강화대책을 내놓은바 있으나 이같은 캠페인성 대책만으로 수출을 되살리기엔 한계가 있음이 분명해지고 있다.

신축적인 환율운용과 금융지원 및 해외공사 수주지원 확대 등 보다 실질적이고 실효성 있는 조치가 뒷받침돼야 한다.

무엇보다도 기업의 활력을 북돋우고 수출마인드를 되살리는데 초점을 맞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