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내에 미국식 프라이머리(PRIMARY.예비선거) 도입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박상천 김근태 최고위원이 프라이머리 도입을 제기한데 이어 최근들어 이인제 최고위원과 노무현 상임고문도 이에 가세하는 등 차기 주자군간에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되고 있다.

프라이머리는 대통령후보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당 대의원은 물론 평당원들도 참여하는 지역별 예비 경선제도.

당 지도부의 뜻과 관계없이 국민지지도가 높은 사람이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제3의 후보''가 급부상할 수 있는 개연성도 있어 여러 후보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인제 위원은 6일 "국민의 지지를 받는 사람이 후보가 돼야 한다는 점에서 프라이머리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위원은 "프라이머리 도입이 어렵다면 대의원수를 5만명 정도로 대폭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무현 상임고문도 "프라이머리 자체는 좋은 안으로 과거에도 도입을 주장했다"고 말했다.

이에앞서 김근태 위원은 "많은 사람들이 대선후보 선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예비경선제를 도입해야 국민의 불신이 사라진다"고 지적한후 "당내 논의를 거쳐 이 방안을 선거법.정당법 등에 규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은 선관위에 예비경선의 관리를 맡기는 구체적인 방안도 내놓았다.

당 정치특위 위원장인 박상천 최고위원도 "특위 차원에서 예비경선제 도입을 논의해 볼 생각"이라며 "정당법에 ''예비경선을 할 수 있다''고만 규정해도 여야 모두 수용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당내 지도부 및 동교동계는 이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여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

프라이머리가 도입되면 후보선출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게 돼 이른바 ''킹 메이커''역 수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게 그 이유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