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시퇴출 협의체구성 난항 .. 은행마다 기준 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은행들이 1천1백87개 상시퇴출심사대상 기업을 선정했지만 은행간 이견조율을 할 협의체 구성이 늦어지는데다 투신권 등 2금융권 참여가 없어 실제 퇴출작업은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9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들은 은행연합회 산하에 퇴출작업을 전담할 채권금융회사 상설협의체를 구성키로 하고 작업을 진행중이지만 은행마다 퇴출판정 등의 기준이 달라 협의체 신설이 늦어지고 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각 은행들이 퇴출기업을 선정한 기준이 약간 다른데다 최종 퇴출판정기준을 어떻게 만들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이번 상시퇴출심사 대상 기업을 선정하면서 여신액기준을 10억원에서 50억원까지 각각 다르게 분류해 향후 퇴출작업과정에서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급선무로 지적되고 있다.
퇴출여부를 결정할 기준에 대해서도 일부 은행은 과거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협약처럼 채권액 75%의 의결로 통과하자는 반면 다른 은행은 만장일치가 돼야 퇴출을 결정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한 상태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
9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들은 은행연합회 산하에 퇴출작업을 전담할 채권금융회사 상설협의체를 구성키로 하고 작업을 진행중이지만 은행마다 퇴출판정 등의 기준이 달라 협의체 신설이 늦어지고 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각 은행들이 퇴출기업을 선정한 기준이 약간 다른데다 최종 퇴출판정기준을 어떻게 만들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이번 상시퇴출심사 대상 기업을 선정하면서 여신액기준을 10억원에서 50억원까지 각각 다르게 분류해 향후 퇴출작업과정에서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급선무로 지적되고 있다.
퇴출여부를 결정할 기준에 대해서도 일부 은행은 과거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협약처럼 채권액 75%의 의결로 통과하자는 반면 다른 은행은 만장일치가 돼야 퇴출을 결정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한 상태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