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 연말까지 외환보유액을 1천억달러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 일본에 이어 중국과도 통화스와프(위기재발시 원화 담보로 달러차입)를 추진중이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이중 자물쇠''(외환보유액+통화스와프)로 환란재발 우려를 잠재울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보유액을 늘릴수록 비용이 많이 든다.

IMF 초기처럼 적정 보유액에 대한 논란이 재연될 조짐이다.

◇최대한 쌓겠다=정부는 보유액이 많을수록 좋다는 입장이다.

김용덕 재경부 국제업무정책관은 "IMF 차입금을 모두 갚는 오는 8월까진 보유액이 줄겠지만 연말까지 보유액을 1천억달러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보유액은 지난달말 현재 9백34억달러로 작년말보다 27억달러 줄었다.

IMF 차입금 32억6천만달러를 갚았고 4월초 한은이 외환시장에 개입(달러매각)했기 때문이다.

남은 IMF차입금은 24억5천만달러.

환율이 갑자기 불안해지지만 않는다면 오는 8월이후엔 경상수지 흑자(올 1백10억달러 예상),외화자산 운용수익(연간 60억달러) 등으로 보유액을 늘릴 수 있다는 계산이다.

◇적정 보유액=보통 한 나라의 적정 외환보유액은 3개월치 수입액에다 만기 1년이내 단기외채를 합친 수준.

한국의 올 1∼3월 수입액은 3백72억달러,단기외채는 4백24억달러(3월말)다.

다른 변수가 없다면 약 8백억달러가 적정 규모인 셈이다.

그러나 금융연구원 이상제 박사는 "언제 위기가 올지 모르듯이 적정보유액도 알 수 없다"면서 "외국인들의 주식투자자금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외국인 주식자금은 무려 5백억달러에 달한다.

이 중 3분의1정도를 보유액으로 쌓아 대비하려면 적정 보유액이 1천억달러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늘려야 하나=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일본(3천6백15억달러) 중국(1천6백56억달러) 홍콩(1천1백46억달러) 대만(1천1백6억달러)에 이어 세계 5위.

경제규모나 외채규모가 한국보다 적은 홍콩 대만이 더 많은 보유액을 쌓은 것을 감안할때 부족하다고 볼 수도 있다.

이상헌 한은 국제국장은 "개혁이 진행중이고 외국인 주식자금,남북관계 등에 비춰 여건이 허락하면 늘리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일반국민들도 일단 많아야 안심이 된다는 분위기인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박영철 고려대 교수 등 학계 일각에서는 "외환보유액이 공짜가 아니므로 무작정 쌓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반론을 제기한다.

저금리(미국 국채 등)로 굴리는 보유액을 쌓기보다 평상시엔 비용이 안드는 아시아통화기금,통화스와프 등 비상장치를 확보하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형규 기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