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 정부,中-日 차별화 외교정책 가시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일본을 ''핵심동반자'',중국을 ''전략적 경쟁자''로 하는 차별화 정책을 점차 가시화하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고이즈미 총리를 "제도를 개혁할 강력한 의지를 갖춘 인물"이라면서 "일본은 미국의 대단히 중요한 동반자일 뿐아니라 극동아시아의 안정을 유지하는데 핵심 동반자"라고 말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12일 보도했다.
부시 대통령은 조만간 워싱턴에서 고이즈미 총리와 상견례를 겸한 미일정상회담을 갖고 미사일방어체제 구축 등 국제외교현안을 둘러싼 양국간 긴밀한 공조관계를 다질 것으로 이 신문은 전망했다.
반면 부시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대만이 침공을 받을 경우 "무력사용을 대안으로 생각할 수 있다"며 무력사용 불사 발언을 내놓는 등 베이징 당국에 대해 강경자세를 누그러뜨리지 않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이번 백악관 월례 회견에서도 중국 당국에 억류중인 미국 시민이 공정하게 다뤄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하는 등 중국측에 냉담한 자세를 취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부시 대통령의 일본과 중국에 대한 차별화정책은 오는 10월 부시 대통령이 상하이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정상회담 참석차 일본과 중국을 방문할때 그 윤곽이 더욱 확실해질 전망이다.
송태형 기자 toughlb@ hankyung.com
부시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고이즈미 총리를 "제도를 개혁할 강력한 의지를 갖춘 인물"이라면서 "일본은 미국의 대단히 중요한 동반자일 뿐아니라 극동아시아의 안정을 유지하는데 핵심 동반자"라고 말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12일 보도했다.
부시 대통령은 조만간 워싱턴에서 고이즈미 총리와 상견례를 겸한 미일정상회담을 갖고 미사일방어체제 구축 등 국제외교현안을 둘러싼 양국간 긴밀한 공조관계를 다질 것으로 이 신문은 전망했다.
반면 부시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대만이 침공을 받을 경우 "무력사용을 대안으로 생각할 수 있다"며 무력사용 불사 발언을 내놓는 등 베이징 당국에 대해 강경자세를 누그러뜨리지 않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이번 백악관 월례 회견에서도 중국 당국에 억류중인 미국 시민이 공정하게 다뤄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하는 등 중국측에 냉담한 자세를 취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부시 대통령의 일본과 중국에 대한 차별화정책은 오는 10월 부시 대통령이 상하이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정상회담 참석차 일본과 중국을 방문할때 그 윤곽이 더욱 확실해질 전망이다.
송태형 기자 toughlb@ 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