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물어보세요] '現전세집 만기일이 새집 이사날보다 늦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Q)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전세 만기일은 6월3일입니다.
그런데 주인이 집을 판다고 내놔 전세를 급히 구했습니다.
새로 이사할 집의 전세 잔금은 5월20일까지 주기로 했습니다.
아시겠지만 확정일자는 입주와 동시에 대항력이 생기는데 새 집으로 입주를 하려니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전세금 반환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전세금을 차질없이 돌려받으면서 새로 이사가는 집의 확정일자 효력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까.
< 서울시 성동구 행당동 박정례씨 >
A) 판례를 근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세 계약후 전세대원이 전입신고를 하기 곤란할 경우에는 일단 세대원 일부만 전입신고를 해도 주민등록을 한 것으로 봅니다.
또 가족은 그대로 주민등록지에서 거주를 하고 가구주만 사업상의 문제로 잠시 옮겨갔다가 온 경우에는 계속해서 주민등록을 유지한 것으로 봅니다.
따라서 우선 5월20일 입주하는 새로운 전세집에 먼저 주민등록을 하면 대항력을 확보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다시말해 임차인 본인과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가족중 한 명이 주민등록 전입신고를 해도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요건인 주민등록을 마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알티브이플러스 어득해 이사 >
---------------------------------------------------------------
◇ 부동산 관련 의문사항은 케드오케이(www.kedok.co.kr)에 문의하시면 전문가들이 상담해 드립니다.
그런데 주인이 집을 판다고 내놔 전세를 급히 구했습니다.
새로 이사할 집의 전세 잔금은 5월20일까지 주기로 했습니다.
아시겠지만 확정일자는 입주와 동시에 대항력이 생기는데 새 집으로 입주를 하려니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전세금 반환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전세금을 차질없이 돌려받으면서 새로 이사가는 집의 확정일자 효력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까.
< 서울시 성동구 행당동 박정례씨 >
A) 판례를 근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세 계약후 전세대원이 전입신고를 하기 곤란할 경우에는 일단 세대원 일부만 전입신고를 해도 주민등록을 한 것으로 봅니다.
또 가족은 그대로 주민등록지에서 거주를 하고 가구주만 사업상의 문제로 잠시 옮겨갔다가 온 경우에는 계속해서 주민등록을 유지한 것으로 봅니다.
따라서 우선 5월20일 입주하는 새로운 전세집에 먼저 주민등록을 하면 대항력을 확보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다시말해 임차인 본인과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가족중 한 명이 주민등록 전입신고를 해도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요건인 주민등록을 마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알티브이플러스 어득해 이사 >
---------------------------------------------------------------
◇ 부동산 관련 의문사항은 케드오케이(www.kedok.co.kr)에 문의하시면 전문가들이 상담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