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 벤처 450개 .. 올들어 50社 새로 창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바이오벤처기업 수가 4백50개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바이오벤처협회(회장 한문희)는 올들어 50개의 바이오벤처기업이 새로 창업돼 전체 기업 수가 지난해 4백개에서 4백50개로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바이오벤처기업 수는 1999년말에는 99개에 불과했다.
사업 아이템별로는 생물의약이 37%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바이오식품 18%,생물화학과 생물환경이 각각 14%씩으로 집계됐다.
이에 비해 생물공정 및 장비부문,생물검정,정보분야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았다.
최고경영자(CEO)들의 직업별로는 대학교수와 연구원 출신이 70%를 차지했는데 이는 지난 99년 정부가 교수 및 연구원의 벤처임원 겸직을 허용한 이후 창업이 급격히 늘었기 때문으로 협회측은 분석했다.
창업자의 연령별로는 40대가 전체의 46%,30대가 35%,50대가 16%를 각각 차지해 연구경력이 창업의 가장 중요한 전제가 되고 있고 있음을 보여줬다.
아울러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바이오벤처기업들이 사업장을 두고 있는 곳은 서울과 대전이 각각 30%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바이오벤처기업의 특성상 초기에 투자비가 많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전체의 76%가 자본금 20억원 미만으로 나타나 아직도 바이오벤처기업들이 자금조달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바이오벤처기업은 지난 96년부터 서서히 증가세를 보이다 99년 이후 벤처기업 육성정책과 인간유전자지도공개 등으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
한국바이오벤처협회(회장 한문희)는 올들어 50개의 바이오벤처기업이 새로 창업돼 전체 기업 수가 지난해 4백개에서 4백50개로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바이오벤처기업 수는 1999년말에는 99개에 불과했다.
사업 아이템별로는 생물의약이 37%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바이오식품 18%,생물화학과 생물환경이 각각 14%씩으로 집계됐다.
이에 비해 생물공정 및 장비부문,생물검정,정보분야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았다.
최고경영자(CEO)들의 직업별로는 대학교수와 연구원 출신이 70%를 차지했는데 이는 지난 99년 정부가 교수 및 연구원의 벤처임원 겸직을 허용한 이후 창업이 급격히 늘었기 때문으로 협회측은 분석했다.
창업자의 연령별로는 40대가 전체의 46%,30대가 35%,50대가 16%를 각각 차지해 연구경력이 창업의 가장 중요한 전제가 되고 있고 있음을 보여줬다.
아울러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바이오벤처기업들이 사업장을 두고 있는 곳은 서울과 대전이 각각 30%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바이오벤처기업의 특성상 초기에 투자비가 많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전체의 76%가 자본금 20억원 미만으로 나타나 아직도 바이오벤처기업들이 자금조달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바이오벤처기업은 지난 96년부터 서서히 증가세를 보이다 99년 이후 벤처기업 육성정책과 인간유전자지도공개 등으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