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국제회의가 이번주 잇따라 열린다.

특히 이들 회의는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가 끝나는 시점과 맞물려 있어 향후 북미대화 재개와 남북관계의 진전여부를 가늠할수 있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선 24일부터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아셈(ASEM) 외무장관 회의는 EU(유럽연합)측이 스웨덴 페르손 총리및 대표단의 방북 결과를 설명한뒤 향후 대북정책 방향을 놓고 회원국들간 토론을 벌인다.

이번 회의에서는 북한을 국제사회로 이끌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EU측의 경제및 에너지분야 전문가 북한 파견 △북한의 국제금융기구 가입 등 개방 유도 △시민단체(NGO) 활동 보장 등 북한의 인권문제를 집중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미·일 3자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은 25일부터 이틀간 미국 하와이에서 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와 제네바합의 수정여부를 놓고 정책조율을 벌인다.

2003년까지 경수로 2기를 북한에 건설해준다는 지난 94년 제네바합의가 현실적으로 이행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미국측은 기본골격은 유지하되 투명성과 상호주의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북·미간 합의를 수정하는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어 한승수 외교부 장관과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다음달초 회담을 열어 각종 논의결과를 바탕으로 대북정책에 대한 최종조율을 한다.

북·미대화 재개여부는 한·미 외무장관회담에서 결론이 날 것으로 전망된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