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가 벼랑끝으로 몰리고 있다.

압두라만 와히드 대통령의 탄핵을 놓고 정국이 극도로 혼미한 상태에서 국제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로부터 ''신용등급 하향''이라는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S&P는 21일 성명을 통해 "인도네시아의 장기외화표시채권 등급을 ''B-''에서 ''CCC+''로 낮춘다"고 발표했다.

장기현지통화표시채권 등급도 ''B''에서 ''B-''로 하향조정됐다.

"미흡한 재정구조조정,과중한 공공부채 및 예산충당의 불확실성을 감안해 등급을 낮췄다"는 게 S&P의 신용등급 하향조정 이유.S&P는 "지속적인 정치불안이 통화정책에 부담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빼놓지 않았다.

이와 함께 S&P는 인도네시아의 공공부채가 연말까지 국내총생산(GDP)의 90% 수준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환율 정치불안 등 여러 변수들에 따라 그 규모가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공공부문의 순대외부채율도 연말까지 경상계정의 60%에 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S&P가 진단한 인도네시아 경제는 한마디로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하면서 S&P는 인도네시아 앞날에 대해 두가지 최악의 시나리오를 예상했다.

하나는 신디케이트론(2개 이상의 금융기관이 기업에 빌려준 대규모 중장기 자금) 지불불능 사태가 초래될 수 있다는 것이고 또하나는 전반적인 지불 불능으로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S&P가 ''디폴트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무엇보다 인도네시아가 ''정국혼란''과 ''막대한 외채''로 이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와히드 대통령의 탄핵 여부를 놓고 정국혼란이 가중되면서 외국자금들의 ''탈(脫)인도네시아행(行)''이 러시를 이루고 있다.

루피아화 가치는 올들어 이미 40% 정도 폭락했다.

외채는 더 큰 문제다.

7백42억달러에 달하는 총외채중 올해 원리금을 상환해야 하는 액수만도 2백53억달러에 달한다.

경제 곳곳을 ''정치불안''이 발목을 잡고 있어 연장협상도 어려울 전망이다.

신동열 기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