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처 "실세 트리오"가 묘안을 짜내느라 고심중이다.

인사방정식으로 고민하는 곳은 재정경제부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위원회.

발단은 김종창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최근 기업은행장으로 기용돼 부원장 자리 하나가 공석이 된 것.

이 몫을 놓고 재경부와 공정위가 ''군침''을 흘리고 있는 것이다.

우선 재경부의 움직임이 빨라졌다.

본부 보직이 없어 외부 파견 등으로 나가 있는 소위 "인공위성"이 가장 많은 재경부인 만큼 한 자리라도 그냥 지나칠 수 없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금감원 부원장으로 이동하기에 적합한 재경부 1급 가운데 금융분야 경험자가 없는 것.

재경부는 고민끝에 "스리(3) 쿠션 인사"라는 묘안을 추진중이다.

국세청에 적을 두고 있는 현오석 전 세무대학장(1급)에게 공정위 1급(상임위원) 자리를 주고 대신 금융분야 경험이 있는 서승일 공정위 상임위원을 금감원 부원장으로 전보시킨다는 카드다.

현 전 학장은 구 경제기획원 출신으로 금융업무 경험이 전무한 반면 서 위원은 구 재무부 출신이어서 금융쪽이 낯설지 않다는데 착안했다.

이 카드는 진념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이 이근영 금감위원장, 이남기 공정위원장 등에게 "협조"를 타진하는 등 사전 정지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 카드가 순조롭게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는 단정짓기 어렵다.

우선 공정위 간부들이 반대하고 있다.

임기가 다 돼 가는 서 위원이 빠지면 내부 승진할 수 있는 터에 굳이 재경부와 "거래"를 할 이유가 없다는 주장이다.

여기에 내심 금감원 부원장 자리를 희망하며 나름의 공을 들여온 인사들의 반발을 무마하는 일도 쉽지는 않다.

누구로 낙착되건 복잡한 과정을 지켜보고 있는 관계자들은 입맛이 씁쓸하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엄연한 비정부기관인 금감원 부원장 자리를 놓고 공무원들이 치열한 "낙하산" 싸움을 벌이는 모습은 아무리 봐줄래도 볼썽 사납다"고 불평한다.

그러나 금감원 역시 최근 은행.증권.카드사 주총때 국장급들을 대거 낙하산으로 내보낸 바 있다.

낙하산 노하우는 피차 ''오십보 백보 아니냐''는 얘기도 들린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