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에서 기업들의 각종 정보를 집중키로 한 것은 신용대출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만들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다.

은행들은 이 제도가 정착되면 담보 제출 관행 등 기업의 불편이 크게 덜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외부 신용평가 기관으로부터 객관적인 평가를 받지 않아 신용대출이 원천적으로 어려웠던 중소기업들에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은행들은 내다보고 있다.

◇ 정보 집중화 대상은 =일단 은행연합회 소속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기업은 대출 금액에 관계없이 모두 대상이 된다.

은행연합회는 기업에 지금처럼 대출현황, 담보상황, 과거 불량거래여부 등의 자료 뿐만 아니라 기업신용을 긍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요구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업들은 현재 자금사정이 안좋더라도 미래의 현금흐름은 나아질 수 있다는 객관적인 분석자료를 제출, 신용등급을 높일 수 있다.

또 경영자의 자질과 같은 비재무정보도 제공함으로써 은행의 객관적인 평가를 유도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다른 은행이 해당기업에 돈을 빌려줄 때 유용하게 쓰이게 된다.

은행연합회는 시행초기에는 은행권만 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지만 앞으로 종합금융사 보험 등 2금융권까지로 활용 금융회사를 확대할 예정이다.

◇ 걸림돌은 없나 =기업들이 고의로 자료를 왜곡했을 경우가 가장 큰 문제다.

상장회사나 자산이 70억원 이상인 기업들은 관련 법에 따라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고 신용평가 회사로부터 신용등급을 평가받기 때문에 제출자료의 객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관련규정의 테두리에 벗어나 있는 중소기업들이 내는 자료는 그만큼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연합회 관계자는 "왜곡된 자료를 제출한 기업은 분식회계 기업과 마찬가지로 금융질서 문란자로 등록해 제재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