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건설업에 새로 뛰어든 업체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 만에 가장 적었다. 주택경기 침체가 이어진 탓이다.3일 대한주택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건설업 신규 등록 업체는 421곳으로 3년 연속 감소했다. 이런 연간 신규등록 업체 수는 2009년(363곳) 이후 최저다.주택건설업 신규등록 업체는 주택시장이 뜨겁던 2021년 2191곳에 달했으나 2022년 1086곳으로 절반 수준으로 급감하더니 2023년 429곳으로 또 반토막이 났다.지난해 사업을 영위할 수 없어 주택건설업 등록을 자진 반납한 업체는 796곳으로 2023년(843곳)보다는 다소 줄었다. 그러나 10년 장기 평균(606곳)보다 200곳 가까이 많다. 주택건설사업을 포기하는 업체가 그만큼 많았단 뜻이다.요건에 부합하지 못해 주택건설업 등록이 말소된 업체는 192곳으로, 전년(246곳)보다 54곳(22%) 줄었다. 이에 지난해 주택건설업 등록업체는 전년보다 567곳(6.0%) 감소한 총 8823곳으로 집계됐다.주택뿐 아니라 전반적인 건설 경기가 침체해 종합건설업 역시 신규등록이 줄고 폐업은 늘고 있으며, 부도처리 되는 건설사도 속출하고 있다.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종합건설업 신규등록 업체는 434곳으로 전년(1307곳)보다 67% 급감했다. 폐업 업체는 516곳으로 23% 늘었다. 지난해 부도 처리된 건설업체는 모두 29곳으로 2019년(49곳)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았다.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주택 신규사업 물량이 2023년보다는 늘어나면서 신규등록 업체가 급감하는 흐름은 멈춰 선 것으로 보인다"며 "고금리 부담이 완화되고 있긴 하지만 올해 공사 물량도 워낙 위축돼 있어 저점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이송렬
지난해 월 9000건을 넘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3000건까지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매수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올해 1월 거래량은 이보다 더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094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만 하더라도 9220건을 기록했지만, 이후 정부의 대출 규제가 강화하면서 ▲9월 3169건 ▲10월 3817건 ▲11월 3359건으로 주저앉았다.1월 거래량은 1458건(계약일 기준)에 그치고 있다. 신고 기한이 계약 후에 한 달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더 늘어날 수 있지만, 부동산 업계에서는 그렇더라도 2000건대 초반에 머무를 것으로 보고 있다.거래량이 받쳐주지 않으면서 9개월 연속 오르던 서울 아파트값에도 제동이 걸렸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해 12월 마지막 주부터 4주 연속 보합을 유지하면서 하락 전환을 앞두고 있다.평균 매매 가격은 이미 하락으로 돌아섰다.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 가격은 지난해 9월 12억5859만원이었지만, 올해 1월에는 11억5082만원으로 4개월 만에 1억777만원 떨어졌다.매수 관망세는 더욱 짙어지는 모양새다. 1월 넷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4주 연속 하락한 96.4를 기록했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100)보다 낮으면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더 많다는 의미다.한 업계 관계자는 "금리 동결이 지속되고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며 "정치적 불안까지 겹치며 매수심리가 크게 위축된 만큼 거래 시장이 쉽게 살아나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포스코, 3.3㎡당 공사비 698만원단지내 단차 줄인 혁신 설계 강점두산, 3.3㎡당 635만원으로 더 낮춰하이엔드 브랜드 '더제니스' 앞세워포스코이앤씨와 두산건설이 경기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은행주공' 아파트 재건축 공사를 따내기 위해 맞대결을 벌이고 있다. 두 건설사 모두 조합 자금 부담을 줄여주고, 차별화한 설계로 랜드마크 단지를 조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와 두산건설은 최근 홍보관을 열고 은행주공 재건축 조합원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이어가고 있다. 은행주공은 지하 6층~지상 30층, 39개 동, 3198가구 규모로 탈바꿈한다.조합은 오는 16일 재건축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앞서 2018년 GS건설·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을 시공사로 선정했으나, 공사비 인상 갈등에 계약을 취소하고 재선정에 나선 것이다. 포스코이앤씨 "특화 설계 적용"포스코이앤씨는 3.3㎡당 공사비로 698만원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조합 사업비 한도를 8900억원으로 설정하고, 그중 2400억원을 무이자로 조달하기로 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신용등급이 A+로 우량해 조합원 분담금 경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발코니 옵션 수익 및 철거 부산물 판매 수익도 조합에 귀속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기존에 시공사에서 해지된 컨소시엄이 제안했던 공사비 715만원보다 낮아 조합 재정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신속한 착공을 위해 조합에 주어진 잔여 인허가 절차인 구조 심의 및 굴토 심의를 위한 실무 지원뿐만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