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 워크숍에선 초.재선 의원들이 제기한 당정쇄신 요구와 인적청산 대상을 둘러싸고 다음날 새벽 2시가 넘도록 격론이 벌어졌다. 당 소속 의원 및 일부 원외지구당 위원장이 참석한 이날 워크숍은 4.26 재보선 참패,의보재정파탄,안 전장관 파문 등에 따른 위기감을 공유한후 쇄신이 시급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인적쇄신과 관련해서는 소장파 의원과 동교동계 의원들간 격론을 벌인 끝에 청와대 전면개편과 비선조직 혁파에 공감대가 형성됐다. 또 김중권 대표의 퇴진론도 제기됐다. 인적쇄신 논란=발제에 나선 신기남 의원은 "인적쇄신 없는 제도나 시스템의 개혁은 공허한 것"이라며 여권 수뇌부의 전면 교체를 요구했다. 신 의원은 "대통령 비서실을 포함하는 여권수뇌부의 역량은 민심을 추스리기에는 한계에 도달했다"고 지적하고 "특히 비공식라인의 과도한 영향력 행사로 국정의 효율적 수행을 가로막는 현상은 타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정배 의원 등은 "청와대 일부 수석들이 자진사퇴할 움직임이 있으나 이는 미봉책일 뿐"이라며 대대적인 인사쇄신을 요구했고,조순형 송훈석 의원 등도 대통령 비서실의 대폭 개편과 비선조직의 국정개입 금지를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인적 청산 대상으로 권노갑 전 최고위원 등 동교동계 일부 인사의 이름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대해 일부 보수적 중진들과 동교동계 의원들이 발끈,한동안 설전과 고함이 이어졌다. 김방림 의원은 "초재선 의원들이 지금까지 뭘했나. 왜 집안에서 이불 뒤집어쓰고 떠드냐"며 서명파들을 싸잡아 비난했고,권노갑 전 최고위원의 측근인 김태랑 경남도지부장은 "비선라인에 대해 얘기하는데 정확하게 짚어서 얘기하라"며 거세게 항의했다. 김 지부장은 "권 전 위원은 그간 수없는 고통과 민주화역경을 거쳐온 대선배"라며 "삭탈관직 당한 그분에게 그런 얘기가 안나왔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김경재,이윤수 의원은 김중권 대표의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이 의원은 "당쇄신을 위해서는 대표가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도 "당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책임이 대표에게 있지 않느냐"며 "김 대표가 사표를 내고 대통령에게 신임을 묻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시된 해법=의원들은 민심회복과 정국 주도를 위해서는 당정 인사시스템 개선,당의 중심역할,공적기구에 의한 국정운영 등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했다. 조순형 의원은 인사청문회 대상 고위공직자 확대와 대통령 주재 최고위원회의에서 인사를 포함한 국정현안 논의,자민련측의 고위공직자 추천시 부적격자에 대한 거부권 행사 등을 제시했다. 이재정 의원은 당과 정부,청와대간 협의절차와 집행과정의 재편을 위한 한시적인 특위 구성을 주장했고,장성원 의원은 최고위원회의를 심의기구로 할 것을 촉구했다. 장영달 의원은 당정쇄신위 구성을 제의했다. 김택기 송영길 의원은 "장관을 인사청문회 대상에 포함시키자"고 말했다. 김병일.윤기동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