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한내에 `민족주의'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는 주한미군 주둔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미 국방관련 연구소가 3일 주장했다. 미 국방대학 국가전략문제연구소(INSS)는 최근 `조지 부시 미 행정부가 직면한전략적인 변화'란 연구보고서에서 "햇볕정책에 따른 남북 정상회담 성사 이후 남한내에서의 두드러진 변화는 민족주의(Nationalism)가 팽배하고 있는 것"이라며 그같이 주장했다. 이 보고서는 "특히 민족주의는 미군철수 주장과 같은 반미감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고 "이는 주한미군 문제와 관련해 단기적이고 중장기적인 차원에서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와관련, 단기적으로는 주한미군 주둔군 지위협정(SOFA)을 미-일간 SOFA와 동일한 수준으로 개정해야 한다는 요구이며, 주한미군의 지위 변화와 계속 주둔 여부가 중.장기적인 이슈가 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또한 보고서는 장래 남북통일 이후 주한미군 지위 문제와 관련, "주한미군의 성격과 병력 규모 등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밖에 보고서는 "남한은 북측과 여러 부문에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안보분야에서는 입장차이가 여전하다"며 "향후 북한은 안보와 관련된 이슈들을 미국과 직접 해결하려고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기자 sknk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