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금융사 예치 99兆 늘어 .. 한은, 민간 금융자산 분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의 축소균형 가능성'
한국은행이 4일 공개한 '민간 금융자산 운용의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자료의 결론이다.
전체적으로는 금융자산의 변동성이 커졌고 단기물과 안전자산을 선호한다는 것도 외환위기 이후 드러난 새로운 현상이다.
외환위기 이전(95∼97년) 연평균 16.4%에 달했던 금융자산 증가율은 외환위기 이후(98∼2000년) 6.4%까지 낮아졌다.
금융기관 예치금은 작년에 무려 98조7천억원이 늘었다.
반면 34조원(98년)가량 늘어났던 유가증권 투자액은 작년엔 오히려 14조7천억원이 줄어드는 등 금융자산의 변동성이 심화됐다.
◇ 안전자산 중시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가한데다 부도위험이 커지면서 안전자산 중시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대우사태 이후 투신 수탁고가 급감하고 금융시장의 불안이 증대되면서 저축성 예금이 전체 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9.8%까지 늘어났다.
◇ 자산운용 단기화 =외환위기 이전 4조∼7조원 수준에서 움직이던 단기금융자산(요구불예금.시장형예금.종금사예치금) 증감액은 98년과 99년 각각 21조1천억원, 2조5천억원 감소했지만 작년엔 16조1천억원 늘어났다.
특히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시장형 상품은 작년 12조5천억원 증가했다.
◇ 실물자산 선호 여전 =지난 97년 기준 국내 민간부문의 총자산 중 금융자산 비중(잔액기준)은 27.0%로 미국(63.1%) 일본(44.6%)보다 크게 뒤떨어진다.
자본시장이 상대적으로 발달되지 못한데다 토지 주택 등 실물자산을 더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이방실 기자 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