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사업은 친환경적으로 계속 추진돼야 한다는 정부의 공식발표가 있었다. 끝이 보이지 않던 새만금사업 논쟁이 일단락되고 정부가 드디어 친환경적 순차개발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우리의 낮은 식량자급도,심각한 농경지와 수자원 부족,미래의 식량위기와 남북통일시대에 대비해 새만금사업의 계속추진은 국가경영 전략차원에서 중요한 선택이었다고 할 수 있다. 91년부터 3대 정부에 걸쳐 10년동안 추진돼 온 사업이 잠정적으로 중단된 채 2년동안이나 논란이 계속되면서 잃은 것이 만만치 않다. 현장에서는 파랑 해일 월파 등에 의해 지반세굴과 축조단면의 유실 등 피해가 계속되었고,공사가 지연되므로 인해 사업효과를 적기에 거둘 수 없어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도 막대하다. 그러나 개발 일변도로 추진됐던 간척사업이 수질 생태 갯벌 등에 대한 신중한 검토와 환경을 고려한 개발이 강조됐다는 면에서 앞으로 친환경 간척사업의 개발방향을 한차원 높였다는 점은 매우 유익한 것이다. 갯벌을 농지로 바꾸는 획일적이고 단순한 간척사업보다 호소내에 갈대 부들과 같은 정수식물을 식재해 유입수를 정화함과 동시에 조류 등이 서식할 수 있도록 습지를 조성하고, 청소년들의 현장체험을 위해 생태공원과 자연학습장을 마련, 야외 학습장으로서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간척지내 철새도래지를 설치하고 이를 관찰할 수 있는 시설도 병행해 철새를 관찰하는 사람들에게 훌륭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민물과 바닷물을 이동하며 산란하는 물고기들이 배수갑문을 통해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도록 어도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방안으로 개발해야 한다. 호소의 형태도 반듯한 직선형보다 자연상태로 형성된 갯고랑을 최대한 살려 원래모양을 따라 조성하고, 배수로에는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대신 자연형 흙수로를 많이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일부지역은 야생동물이 뛰어놀 수 있는 방목장으로 할애하고,논 농사는 비료와 농약을 줄이는 대신 오리.우렁이농법 등 친환경농법을 광범위하게 적용해 청정지역으로 관리한다면 자연과 인간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최대의 친환경 간척사업지구가 될 것이다. 앞으로 정부는 새만금사업에 따른 수질개선 및 해양환경보전대책 등의 이행상황을 보다 객관적으로 점검·평가하기 위해 중앙정부에 시민단체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새만금환경대책위원회'를 설치하고 지역에는 '수질보전대책위원회'를 설치, 운영할 계획이다. 새만금사업이 친환경간척사업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것이다. 문제는 앞으로 이와같은 계획을 어떻게 착실히 수행해 나가느냐 하는 것이다. 국내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최대 관심사인 새만금사업이 가장 환경친화적인 간척사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정부와 자치단체 및 시민단체 모두가 주인이 돼 그동안 제시된 사항들이 잘 추진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감시 감독하고 문제점을 보완해 가며 사업추진의 동반자로서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새만금사업은 지난 2년여동안 민관공동조사, 정부관계기관의 추가 검토,공개토론회 및 평가회의 등 종합적인 검토를 거쳐 사업추진을 결정한 만큼 국가와 국민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있도록 새만금사업에 지혜를 모아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 알림 = 독자의 글을 기다립니다. * 주소 = 100-791 서울 중구 중림동 441 한국경제신문 편집국 여론독자부 * 전화 = (02)360-4247 * 팩스 = (02)360-4350 * 인터넷주소 = reader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