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1 21:34
수정2006.04.01 21:36
국내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부각되고 국제적으로도 그린(Green)라운드가 강화되면서 회수물류(Reverse Logistic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회수물류는 제품회수,리사이클링,폐기물처리,재활용 등 회수과정 전반에 걸친 물류시스템을 말한다.
조달물류,판매물류 등과 함께 물류의 한 과정을 구성한다.
독일에서 지난 1991년에 이미 상품포장을 리싸이클하도록 법제화된 것처럼 앞으로는 제품수명이 끝나면 제조업체가 이를 의무적으로 회수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회수물류가 외면할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이 되는 것이다.
국내의 회수물류는 아직 걸음마단계다.
가장 앞선 분야는 가전업계다.
삼성전자,LG전자,대우전자 등 주요 전자업계는 지난해 9월 폐전자제품 회수물류를 공동화하기 위해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를 창립했다.
협회는 내년말까지 6백58억원을 투입해 수도권 중부권 영남권 호남권 등 전국에 권역별로 4개의 폐전자제품 회수 재활용시설을 갖추고 시설을 공동이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가전업계를 제외하면 대부분 아직 회수물류에 대한 개념조차 잘 서 있지 않다.
앞으로 화학,제약분야를 위시해 산업전반에 폐기물 처리에 대한 회수물류의 필요성이 급격히 대두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회수물류는 그린라운드가 새 천년의 의제로 급부상하면서 국가경쟁력을 위해서도 외면할 수 없는 과제가 될 전망이다.
이미 유럽연합(EU)은 수입규제 못지 않게 제조업체의 제품 수거와 재활용을 의무화하는 등 엄격한 환경관련 규제조치를 취하고 있다.
규제는 전기.전자,기계,자동차,섬유,타이어,종이,염료,페인트,세척제 등 거의 전 품목에 대해 취해지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따르면 EU가 환경규제를 취하고 있거나 추진중인 품목군의 EU수출액은 99년 기준으로 1백45억달러로 총 수출액 2백2억달러의 72%에 달한다.
환경관련 규제가 늘어나면 국내 기업들이 규제를 벗어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해야 하는 등 수출품 원가 부담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는 이야기다.
또 다국적기업들의 생산,유통활동거점이 아시아로 이전되고 있는 추세여서 산업전반과 국가적인 회수물류체계의 구축은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선 싱가포르가 회수물류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관계자는 "국제물류업체인 백스 글로벌과 에머리 월드와이드가 지난 1997년부터 IBM,애플 등 다국적 기업의 회수물류서비스를 싱가포르에서 수행중"이라며 "우리도 정부차원에서 항만지역에 회수물류거점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물류협회 서병륜 회장도 "제조업체는 회수물류의 중요성을 반영한 물류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물류업체도 회수물류서비스를 아웃소싱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