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무부가 한국산 철근에 대해 덤핑 최종 판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다음달 11일 열릴 미 국제무역위원회(ITC)의 산업피해 최종 판정에서 국산 철근제품이 덤핑 판정을 받을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워싱턴무역관은 미 상무부가 15일(현지시간) 한국산 철근에 대해 지난 1월의 예비 판정 때와 거의 같은 21.7∼1백2.28%의 덤핑마진을 부과했다고 17일 밝혔다. KOTRA 관계자는 "ITC가 한국과 함께 제소됐던 인도네시아 폴란드 우크라이나 등 3개국 철근에 대해 지난 5월 산업피해를 인정하는 최종 판정을 내린 적이 있어 국산 제품도 긍정판정을 내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ITC의 최종판정에서 산업피해가 인정되면 동국제강 한보철강 등 국내 업체들은 덤핑마진만큼의 관세를 물어야 하기 때문에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번 반덤핑 조사는 작년 6월 누코 등 미국 8개 철강업체의 공동 제소로 시작됐다. 미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한국산 철근의 대미 수출은 97년 4백74만달러에서 98년 1억2천만달러로 급증한 뒤 99년 7천6백만달러로 다시 감소했으나 미국내 수입시장 점유율이 22.7%로 여전히 높은 편이다. 한편 KOTRA는 ITC가 15일(현지시간) 한국산 유정용 탄소강관에 대한 일몰재심 판정에서 95년부터 시행해 오던 반덤핑 관세조치를 그대로 유지키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