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예탁금이 증가 하루만에 큰 폭 감소했다.
18일 증권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16일 고객예탁금은 8조5,627억원으로 전날보다 2,811억원 줄었다.
신용융자금은 1,688억원으로 소폭 감소했고 선물옵션거래 예수금은 1조2,703억원으로 205억원 감소했다. 위탁자 미수금은 4,846억원으로 25억원 줄었다.
한경닷컴 김은실기자 kes@hankyung.com
2만8619원(2024년 2월 23일 고가)→1만4300원.2차전지 업황 악화로 1년 만에 주가가 반토막 났다. 29일 코스닥 시가총액(1593억원) 470위 코윈테크 이야기다. 이 회사는 스마트 팩토리 물류 자동화시스템을 제조하는데 2차전지, 반도체, 석유·화학 등 다양한 산업에 물류 자동화 장비를 판다. 고객사가 글로벌 공장을 건설하는 초기 단계부터 자동화 시스템 설계에 착수해 레이아웃, 도면 등을 제공하고 플랜트심 구축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게 주 사업 영역이다. 특히 2차전지 스마트 자동화 로봇으로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타 산업군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자동화 시스템 사업 부문은 배터리 고객 비중이 90% 이상이라 2차전지 업황에 따라 주가도 출렁인다.과거 스태커 크레인(입출고 작업 운반기기), 컨베이어 시스템 등 고정형 장비 공급이 많았다면 최근 자동유도로봇(AGV), 자율주행로봇(AMR) 등 이송형 로봇들을 주력으로 공급하고 있다. 지난 1월 2일 AMR 양산 공급 계약 발표와 함께 로봇 제품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전고체 전지 등 영토 확장 … SK하이닉스 외 대기업 고객사 확보할 것”코윈테크는 올해 자동화 사업 영역 확장과 차세대 혁신 장비 개발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29일 회사 관계자는 “차세대 배터리 시장 선점 전략으로 지난해부터 전고체 전지라인 수주 및 납품에 이어 원통형 46 시리즈, 리튬 메탈, 바나듐 배터리 등 다양한 고객사로부터 차세대 전자라인 수주를 선점하면서 수주 모멘텀을 넓혀가고 있다”고 밝혔다. 또 “2차전지에 편중된 사업 비중을 완화
국제 정세 급변과 계엄사태 후폭풍 등으로 소비심리가 크게 흔들리면서 국내 주요 유통·식품기업들의 실적 전망치가 연일 낮춰지고 있다. 증권가는 올 상반기까지 소비심리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롯데쇼핑, 이마트 등 백화점·마트 업체들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전망치) 합산액은 4829억원으로 집계됐다. 1개월 전 합산액인 5546억원에서 12.92% 줄었다. 전망치가 가장 크게 감소한 기업은 이마트다.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한 달 전 525억원에서 최근 257억원으로 반토막이 났다. 신세계는 같은 기간 1757억원에서 1525억원으로 13.2% 줄었고, 롯데쇼핑도 2182억원에서 1983억원으로 9.1% 감소했다. 현대백화점은 영업이익 예상액이 1064억원으로 한 달간 18억원 줄어든 데 그쳐 비교적 양호했다. 업계에서는 작년 4분기 소비심리 악화가 실적에 직격타를 날렸다고 보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88.4로, 11월보다 12.3포인트 내렸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당시인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이다. 지수 자체도 2022년 11월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상임금 판결로 일회성 비용부담이 커진 점도 실적에 영향을 주고 있다. 지난달 19일 대법원은 재직 여부나 근무 일수 조건이 붙은 임금도 통상임금의 산정 기준에 포함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통상임금 기준이 넓어지면 기업들이 직원 퇴직금 등으로 쌓아야 할 충당부채가 일시적으로 늘어난다. 지난 22일 실적을 발표한 한진은 지난해 연간 매출이 처음으로 3조원을 돌파했지만, 4분기만 놓고 보면 통상임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개발한 인공지능(AI)이 세계 갑부들의 자산에도 직격탄을 날렸다.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세계 갑부 500위에 드는 자산가들은 이날 하루 약 1080억달러(약 156조2760억 원)를 잃었다.딥시크 충격으로 전 세계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급격히 확산하면서 주요 지수가 폭락했기 때문이다.갑부 중에서도 특히 AI 분야의 억만장자들이 가장 큰 손실을 봤다.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201억달러(약 29조746억원), 오라클의 래리 엘리슨 회장은 226억달러(약 32조7000억원)를 날렸다.손실 규모는 엘리슨 회장이 더 크지만, 자산에 미친 영향은 황 CEO 쪽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엘리슨 회장의 자산은 전체 중 12% 감소했지만, 황 CEO의 자산은 20%나 줄어들었다.황 CEO는 그간 AI 붐의 가장 큰 수혜자로 꼽힌다. 그의 재산은 2023년 초부터 딥시크 충격이 발생하기 직전까지 8배 가까이 증가했다.이와 함께 델의 창업자 마이클 델의 손실액은 130억달러(약 18조8000억원),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 창업자 자오창펑의 손실액은 121억달러(약 17조5000억원)로 각각 추산됐다.이날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07% 급락했다. 딥시크가 개발한 저비용 AI 모델이 미국 빅테크의 AI 관련 과잉투자 우려를 키웠기 때문이다.다만 황 CEO나 엘리슨 회장과 달리 일부 IT 거물들은 딥시크 충격 와중에 오히려 자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페이스북의 모기업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CEO는 이날 자산이 43억 달러(약 6조2000억원),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의 자산은 6억3000만달러(약 9120억원) 증가했다.이는 엔비디아의 칩 구매에 천문학적인 비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