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0일 금강산 관광사업 컨소시엄에 한국관광공사가 참여키로 한 것을 둘러싸고 공방을 벌였다. 한나라당과 자민련은 관광공사의 금강산 관광사업 참여는 사실상 정부가 국민세금으로 금강산 관광사업을 떠맡는 것이라고 비판했고, 민주당은 금강산 관광사업 참여 여부는 기업이 수익성을 따져서 결정할 문제라는 입장을 보였다. 한나라당 권철현(權哲賢)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금강산 사업자체를 정부가 떠맡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며 동시에 실질적으로 정부가 직접 개입하겠다는 선언"이라며 "사업을 중단시키지 않으려는 정부의 궁여지책이겠지만 이는 국민의 혈세를 불확실한 사업에 퍼주기용으로 사용하겠다는 것으로 옳은 방법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권 대변인은 또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 것이 확실하지만 체면상 그냥 포기할 수 없어 시도하는 명맥유지책일 뿐"이라며 "민간기업 차원의 컨소시엄 구성에는 반대하지 않으나 관광공사의 사업참여는 재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자민련 변웅전(邊雄田) 대변인도 논평에서 "정부의 금강산사업 참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동안 정부가 대북정책에 일관되게 주장한 정경분리원칙을 포기하는 것"이라며 "국민경제가 어려운 이때 금강산 관광사업에 국민혈세까지 쏟아붓는다는 것은 결코 있을 수 없다"고 반대입장을 분명히했다. 그는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며 "만일 정부가 김정일 답방을 성사시키기 위해 국민 혈세로 금강산 사업을 추진한다면 끝내 국민지지를 받지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민주당 전용학(田溶鶴) 대변인은 "금강산 관광사업에 관광공사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한다고 하는데 수익성 문제는 개별기업이 판단해야할 문제지 정부에서 권유하거나 지시할 사안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에서 관광공사의 사업 참여를 제안했던 장성민(張誠珉) 의원은 "금강산 육로관광이 이뤄지면 관광객 숫자가 크게 증가하며 교류 확대의 촉매역할을 할 것"이라며 "기업이 수익을 위해 사업 참여를 검토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해 정부가 측면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 맹찬형기자 mangel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