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6일 공청회를 거쳐 다음달 시행될 예정인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시설등급제를 둘러싸고 업계와 정보통신부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24일 IDC업계에 따르면 정통부가 기초 상위 최상위 등 3등급으로 IDC 등급제를 마련하면서 최상위 기준을 현실과 맞지 않게 너무 까다롭게 규정,업체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최상위급을 받기 위해서는 상당한 규모의 재투자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현재 마련중인 시설등급 관련 항목은 안전성 발전시설 무정전전원장치(UPS) 침입방지시설 장비보호시설 고객외부감시 등. 업계의 한 관계자는 "예를 들어 자체 발전시간은 12시간,UPS는 40분이상 가동돼야 최상위급을 받을 수 있다"며 "UPS가 30분만 작동돼도 고객의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는 큰 무리가 없는데 왜 10분을 더 추가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성토했다. 이은재 KIDC 마케팅팀 부장은 "실제로 UPS 가동시간을 10분 더 늘리는데 적잖은 돈이 들어간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초급은 의무사항이고 상위와 최상위급은 권고사항이라고는 하지만 메이저업체로서는 최상위급을 받을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재투자의 부담이 커지는 게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KIDC 한국통신 하나로통신 등 메이저 IDC업체들은 또 최상위 기준이 과도하게 높아 사실상 서비스에서 많은 편차를 보이는 중견업체들과 같은 상위급을 받을 경우 변별력이 없어진다는 문제도 지적했다. 정통부는 그러나 "시설등급제가 고객정보의 안전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인 만큼 세계적 수준에 맞춰 등급기준을 정하는 것이 옳다"는 입장이다. IDC 운영노하우등 IDC 운영전반에 대한 평가도 제도도입 초기에는 어렵고 향후 보완해 나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장규호 기자 sein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