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교통부가 판교신도시 당초 개발계획안을 수정,발표하자 경기도가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건교부는 최근 주거용지 100만평, 벤처용지 10만평, 상업.업무용지 5만평, 공원등 기타 166만8천평의 판교신도시 개발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건교부의 이같은 개발안은 지난 1월 건교부.경기도.성남시가 합의한 주거용지 60만평, 벤처용지 60만평에 비해 주거용지가 40만평 늘어난 반면 벤처용지는 50만평 줄어든 것이다. 경기도는 건교부 개발안이 확정될 경우 당초 계획한 지식기반사업을 육성하기 힘들고, 판교 일대가 베드타운화 된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도(道)는 특히 도시개발에 당정이 정치논리로 개입하는 바람에 어렵게 마련한 지식기반사업이 물거품이 될 위기에 놓여있다고 판단, 상공회의소.벤처협회를 통한 건의와 지역 국회의원 설득 등 당초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건교부 개발안 주거단지 100만평, 벤처단지 10만평을 포함한 판교신도시 280만평을 저층.저밀도의 친환경 시가지로 조성하는 안을 마련했으며, 당정협의를 거쳐 이달 말 확정할계획이다. 건교부는 관계부처 및 주민의견을 수렴, 올해 말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한 뒤 오는 2003년 6월 개발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개발계획이 수립되면 2004년 12월 판교에서 주택분양이, 2006년 6월에는 주택입주가 가능해 진다. 건교부는 당초 벤처용지가 60만평에서 10만평으로 줄어든 것은 벤처용지를 조성가 또는 조성가 이하로 분양하게 될 경우 개발이익이 크게 떨어진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민주당 방안 판교신도시를 저밀도 전원형으로 개발키로 방향을 정했다. 민주당 강운태(姜雲太) 제2정책조정위원장은 "판교는 일산이나 분당 같은 신도시는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밀도가 낮은 전원형 도시나 여기에 첨단산업 단지가 결합된 형태로 개발될 것"이라고 말했다. 당정은 이에 따라 이달 말까지 협의를 통해 개발방법과 일정 등에 대해 최종결정을 내릴 방침이다. ◇서울시 입장 서울시는 근본적으로 판교신도시 건설을 반대하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교통대란이 예상되는 판교신도시 건설계획은 전면 재검토 되어야 한다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판교신도시 건설이 강행된다면 서울 내부의 심각한 교통혼잡 추가에 따른 통행료 징수는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경기도 반발 경기도는 지식기반사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벤처단지의 부지가 최소한 60만평은 되어야 한다는 판단이다. 벤처협회의 수요조사 결과 산.학.연 네트워크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100만평 규모의 판교밸리 조성이 필요하나 사업성.지역여건 등을 감안, 최소한 60만평 이상은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건교부 개발안과 같이 주거지역 100만평, 벤처단지는 10만평이 조성될 경우 판교지역에 자족기반이 부족, 사실상 벤처단지 역할을 하기 힘들고 판교도 분당.수지등과 마찬가지로 베드타운화 될 가능성이 높다. 또 판교의 경우 분당.수지 등 대단위 택지단지가 인접해 벤처단지 입주업체 종사자들이 서울에 비해 값싼 인근 지역에 주거지를 정하기 때문에 교통혼잡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더욱이 서울지역의 벤처기업이 판교에 입주함에 따라 서울 테헤란, 양재지역의 교통난이 해소된다고 밝히고 있다. 도(道) 관계자는 "벤처밸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60만평 이상의 부지 확보가 관건이다"며 "이같은 내용은 건교부도 인정했으나 당정에서 개발계획에 깊숙이 개입, 정치논리를 펴는 바람에 지식기반사업 육성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달 말까지 당정 협의안이 공식 발표되더라도 정부부처, 자치단체간 이견으로 판교신도시 개발사업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수원=연합뉴스) 김종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