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국회 교섭단체 구성요건을 완화하자는 자민련의 요구를 수용할 지 여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 강재섭(姜在涉) 부총재가 "교섭단체 의석 기준은 자민련 요구사항을 들어주고 나중에 우리당의 요구 사항을 자민련이 들어주는 식의 협조체제를 구축하면 좋을 것"이라고 말하는 등 '절대반대' 당론과 다른 의견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한나라당이 제출한 임동원(林東源) 통일장관과 김동신(金東信) 국방장관 해임건의안 관철을 위해 국회법 개정문제를 대(對) 자민련 협상카드로 활용할필요가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특히 당의 입장에 조금도 변화가 없다는 지도부의 강조에도 불구, 지도부가 이미 수용키로 결정했으며 다만 시기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는 설도 흘러나온다. 한나라당이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문제를 6월 임시국회에서는 들어주지 않더라도 향후 정국추이에 따라 정기국회에서 수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한 핵심 부총재는 "이 총재가 연초에 `우리는 지난 총선에서 17석을 차지한 자민련을 정당으로서의 실체를 결코 부인하지 않는다'고 말한바 있는 만큼 이 틀에서결정될 것"이라면서 "자민련은 원철희(元喆喜) 의원 문제 때문에 서두르고 있지만대법원의 확정판결이 나온게 아닌 만큼 아직 서두를 필요는 없지않느냐"고 말했다. '의원이적'을 통해 교섭단체 구성에 성공한 자민련이 다시 교섭단체 문제를 제기하는 배경이 원 의원이 대법원 확정판결로 의원직을 상실할 개연성이 높다는 `미래형'에 기초하고 있는 만큼 서두를 필요가 없으며 원 의원 문제가 `현재형'이 됐을때 논의해도 늦지않다는 입장이다. 결국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문제는 대선까지 자민련 및 김종필(金鍾泌) 명예총재와의 관계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에 대한 이 총재의 향후 정국구상과 공동여당간관계 등 정국향배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정기국회 때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될 개연성이 높다는게 중론이다. (서울=연합뉴스) 안수훈 기자 a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