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수차 거론됐던 민주당과 자민련간의 합당론이 다시 수면위에 모습을 드러내 눈길을 끌었다. 자민련 이양희(李良熙) 사무총장이 26일 "내년 대선후보를 자민련이 맡는 조건이라면 민주당과 합당논의가 가능하다"고 말한 데 대해 민주당 박상규(朴尙奎) 사무총장이 27일 사견임을 전제, "합당은 바람직하지만 조건을 붙여선 안된다"는 '반응'을 보였기 때문이다. 더욱이 박 총장이 사견을 전제로 "자민련 이 총장과는 합당에 대한 교감은 서로 갖고 있다" "합당하게 되면 금년말이나 내년초가 좋을 것"이라고 말함에 따라 합당을 둘러싼 2여간의 물밑 논의가 '현재 진행형'이 아닌가 하는 관측도 대두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그러나 양당 사무총장의 그같은 발언에 그다지 무게가 실린 것으로는 보지 않는 분위기다. 자민련 이 총장이 내건 전제조건이 민주당으로서는 워낙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이라는 점에서 '합당론'이라기보다는 '합당반대론'에 가깝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다 민주당 박 총장의 발언도 합당의 필요성에도 불구, 그같은 조건은 '수용불가'라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언론사 세무조사를 놓고 여야간에 첨예한 대치정국이 계속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2여 합당론은 국민여론의 지지를 받기도 어려운 만큼 후속 탄력을 기대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조만간 다시 수면하로 잠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그럼에도 불구, 2여 내부에선 정책.선거공조의 불편을 해소하고 효율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합당 필요성이 상존해있고, 특히 내년 대선과 관련한 여권내부의 역학구도 및 전략적 판단에 따라서는 올 하반기 이후에는 합당론이 본격적으로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김민철기자 mincho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