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9일 국세청의 언론사 사주 및 법인에 대한 고발을 놓고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은 "공정한 과세와 법 집행"이라며 검찰의 엄정한 수사를 통한 조세정의 구현을 촉구한 반면 한나라당은 "정치적 음모에 따라 진행된 정권의 기획작품"이라고 비난했다. ◇민주당=이날 원내 대책회의를 열어 조세정의 구현을 위한 관계당국의 공정한 법집행 노력을 평가한후 야당은 정치공세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동시에 '헌법상 언론의 자유는 언론기업의 주체인 기업인으로서의 활동까지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는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부각시키며 '역풍' 차단에 나섰다. 김중권 대표는 "언론의 자유도 중요하지만 국민으로서 납세의 의무는 더 중요하다"며 "탈법·위법을 저지른 사람은 법으로 응징하는게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전용학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검찰의 엄정한 수사를 통해 조세정의가 살아있음을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강조하고 "야당도 더이상 터무니없는 정치공세를 중단하고 검찰수사와 법원의 판단을 차분히 지켜보라"고 촉구했다. ◇한나라당=당3역회의에 이어 오후 '당 언론자유수호비상대책특위'를 열어 국정조사 관철을 위해 총력을 쏟기로 결정하고,이같은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장외투쟁도 검토하기로 했다. 김기배 총장은 당 3역회의에서 "정부가 언론사찰을 하는 것은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것이며,궁극적으로는 재집권이 목표"라고 규정하면서 "언론을 죽이고 민주주의를 말살하려는데 대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철현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6개 언론사를 고발조치했지만 시중에 떠돌던 소문처럼 특정 언론을 겨냥한 표적세무사찰이라는 비난을 면키 어렵다"고 주장했다. 또 '10대 공개질의'를 통해 △언론탄압 정점에 대통령이 있으며,그아래 청와대와 민주당 실세의원 등 10인 위원회가 있다는 소문 △언론압살 공작후 야당파괴에 돌입해 제2의 쿠데타식 영구집권을 시도할 것이란 설 등에 답하라고 요구했다. 김형배.이재창 기자 k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