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 3일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롯한 MB계와 회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전 장관은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 선을 그은 바 있지만, 사실상 물밑 대권 행보에 시동을 걸었다는 분석이 나온다.9일 복수의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김 장관은 지난 3일 서울 서초구 청계재단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을 만났다. 회동에는 친이(친이명박)계인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 장다사로 전 총무기획관이 배석한 것으로 확인됐다. 회동은 김 장관 측 요청으로 만들어졌다는 전언이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김 장관의 제안으로 만들어진 자리로, 이 전 대통령을 인사차 방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선 김 장관이 이 전 대통령에게 대선 출마 등 관련해 조언을 받았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앞서 김 장관은 지난 4일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 "검토하거나 생각한 것이 전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 전 대통령과의 회동이 사실상 대권 행보의 시작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정치권에서 나온다. 앞서 김 장관은 대선 출마 가능성을 질문받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재판과 계엄 관련 재판이 진행되고 있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이를) 단정할 수 없다"며 이같이 답했다.국민의힘 내부에서도 김 장관의 대선 등판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한 국민의힘 재선 의원은 "김 장관의 지지율 정도면 본인도 생각이 있지 않겠느냐"며 "윤석열 대통령의 '옥중 정치'가 이어지면 가장 탄력을 받을 사람은 김문수"라고 말했다.박주연/정소람 기자 grumpy_cat@hankyung.com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변론에서 "인원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는다"고 진술한 것과 관련 거짓말이라는 비판이 나오자 윤 대통령 측이 반박에 나섰다.대통령 대리인 석동현 변호사는 9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윤 대통령이 '나는 인원이란 말을 안 쓴다'고 진술한 의미는 이 사람, 저 사람 등 지시대명사로 이 인원, 또는 저 인원이란 표현을 안 쓴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이어 "윤 대통령도 '인원수가 얼마냐', '불필요한 인원은 줄여라', '인원만큼 주문해' 이런 표현에서 당연히 인원이란 단어를 쓴다"며 헌재 변론에서 말한 '인원'도 이 같은 맥락이라고 주장했다.앞서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은 지난 6일 탄핵심판 6차 변론에서 계엄 당일 윤 대통령으로부터 '인원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다.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사람이라는 표현을 놔두고, 의원도 아닌 '인원'이라는 말을 써본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그러나 윤 대통령이 이날 변론을 비롯해 과거 공식 행사 등에서 '인원'이라는 표현을 쓴 사례를 두고 야당을 중심으로 진술이 거짓말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당 대표직을 상실한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가 '당 대표 직인'을 소지한 채 당 계좌 비밀번호도 알려주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9일 정치권에 따르면, 허 전 대표는 당 명의의 공문서를 보내거나 당 계좌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데 필요한 '당 대표 직인'을 당에 반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개혁신당 측은 지난 7일 천하람 당 대표 권한대행 명의로 당 대표 직인 반납을 요청했으나, 허 전 대표는 아직까지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개혁신당 관계자에 따르면, 당초 당 직인은 사무처가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허 전 대표의 경우 지난해 10월 총무국에 당 직인을 가져오라고 지시한 뒤 직접 소지해왔다.개혁신당 측은 허 전 대표가 당 계좌 비밀번호를 바꾼 상태에서 비밀번호도 알려주지 않고, 비밀번호 변경에 필요한 당 대표 직인도 돌려주지 않아 난감한 입장이다.한편, 법원은 지난 7일 허 전 대표가 '천하람 지도부'에 제기한 '당 대표 직무 정지'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에 대해 '기각' 결정했다. 법원은 "당원소환 투표를 무효로 볼만한 자료가 없다"며 "허 대표는 직 상실, 천 원내대표의 권한대행은 유효하다"고 판단했다.개혁신당 관계자는 "허 전 대표가 판결에 대해 전혀 승복하거나 협조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허 전 대표는 이에 대해 "잠수 탄 적 없다. 공문을 받은 적도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통화에서 "제가 대표직이 아니라는 결정이 되면 당연히 (직인을) 반납해야 하는 건데, 지금 저희 입장을 논의하고 있다"고 했다.그러면서 "법원에서 어떻게 정당의 대표에 대해 판결을 하는가? 선거관리위원회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