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1일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총리의 전날 정상회담에 대해 대체로 미.일간 '흔들림없는 동맹관계'를 확인한 계기였다고 평가했다. 특히 일본 언론은 취임 2개월을 조금 넘긴 고이즈미 정권이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미국과의 원만한 관계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안보 및 경제개혁 정책을 강력히 추진해 나갈 수 있는 힘을 얻게 됐다는 점을 성과로 꼽았다. 고이즈미 총리는 이번 정상회담을 앞두고 야마사키 다쿠(山崎拓) 자민당 간사장등 연립 3당 간사장, 다나카 마키코(田中眞紀子) 외상, 나카타니 겐(中谷元) 방위청장관을 잇따라 미국에 파견, 사전 정지작업을 벌일 정도로 상당한 공을 들여왔다. 대중적인 인기에서 역대 최고를 자랑하고 있는 고이즈미 총리이지만 외교수완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많았기 때문이다. 요미우리(讀賣)신문 등은 이처럼 외교력이 검증되지 않았던 고이즈미 총리의 외교 데뷔무대에 대해 "일정한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 고이즈미 인기에 날개를 달아줬다. 특히 일본 언론은 미국과 일본이 미사일 방어계획, 집단적 자위권 문제, 동아시아 정세 등 안보 분야에 걸쳐 앞으로 차관급 `전략회의'를 갖기로 한 미.일 공동성명의 합의내용을 가시적인 성과의 하나로 꼽았다. 또 고이즈미 총리가 미국의 미사일 방어계획 추진에 대해서는 "이해한다"는 원칙적인 입장을 표명한 대목은 나름대로 `실익'을 챙긴 외교였다는 지적이다. 미국의 미사일 방어계획은 자칫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문제와 상충하는 결과를 빚을 수도 있는데다 중국, 러시아 등 주변국의 반발도 거센 만큼 고이즈미 총리로서는 미국의 감정을 건드리지 않는 범위에서 일본정부의 입장을 전달한 셈이다. 반면 경제분야에 있어서는 고이즈미 총리가 부실채권 정리와 규제개혁을 사실상미국측에 '공약'함으로써 앞으로 정책의 후퇴가 불가능하게 됐다고 일본 언론은 지적했다. 미국측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고이즈미 총리가 일본 경제를 재건할 수 있는 역량과 실천력이 있는지 여부를 가늠해 보려 했기 때문에 고이즈미 총리는 확실한 경제개혁 의지를 밝히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 한편으로 고이즈미 총리는 집권 이후 개혁 드라이브를 구호로 내걸어 국민의 절대적인 지지를 얻고 있는 상황을 감안, 미국측에 구조개혁을 공약하는 방법을 통해 국내의 개혁반대 세력을 제압하려했다는 분석도 있다. 고이즈미 총리는 지구온난화 방지협약인 교토의정서 문제와 관련해서도 미국을 교토의정서 체제에 묶어놓기 위해 고위급 협의체 가동을 미국측에 제의, 관철시키는 성과도 올린 것으로 평가된다. (도쿄=연합뉴스) 고승일특파원 ksi@yonhap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