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은 나라의 초일류기업 - 북유럽 3국에서 비결을 배운다 (下) ]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 남서쪽 북해변에 위치한 에스푸. 핀란드 최대의 R&D(연구개발) 센터인 "오타니에미(Otaniemi) 사이언스파크"가 있는 곳이다. 핀란드 최고의 인재들이 모인다는 헬싱키공대(HUT)와 핀란드 기술연구소,수많은 첨단 기업들이 이 사이언스파크 안에 있다. 연구인력만 5천여명에 달한다는 이 사이언스파크의 심장부는 뭐니뭐니해도 "이노폴리(Innopoli)" 창업 인규베이터 단지다. 첨단기술과 아이디어로 무장한 2백50개 벤처기업이 들어서있다. 핀란드 정부산하 기술개발센터(TEKES)는 이노폴리에 입주해있는 기업에 대해선 기술평가를 통해 50%까지 창업자금을 지원한다. TEKES는 지난 99년 2억7천만달러의 투자금중 53%를 중소기업에 지원했다. 노키아 등 제조업체는 물론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등 컨설팅 회사들도 각 프로젝트의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다. 1개 벤처기업에 7명의 경영 회계 전문가들이 창업에서부터 상업적 성공까지 전 단계에 걸쳐 미래의 기업가를 지원하고 있다. 은퇴한 기업가들이 경영컨설팅을 제공하는 '뮤토(Meutor)'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이노폴리는 이처럼 산(産)·학(學)·관(官) 삼위일체로 운영되는 핀란드 경쟁력의 산실이다. 핀란드의 산학협력은 지난 1982년 산업구조조정을 실시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핀란드 정부는 행정구역별로 산업공단 인근에 1개의 공과대학을 세우고 이를 중심으로 오타니에미와 같은 과학도시(Technopolis)를 건설했다. 기업 대학 연구소간 기술교류가 자연스럽게 이뤄지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이노폴리 자체가 하나의 기업이다. 투자금융기관이 66%,노키아를 비롯한 제조업체가 23%,에스푸시 등이 나머지 지분을 가지고 있다. "이노폴리는 산학협력의 상징이다.기술개발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 탄생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일포 산탈라 이노폴리 사장) 핀란드의 경쟁력은 바로 여기서 나온다. 스웨덴도 마찬가지다. 수도 스톡홀름 북서부에 위치한 '시스타(Kista) 사이언스파크'가 대표적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이어 세계 2위의 정보기술 산업단지로 손꼽히는 시스타 사이언스파크에는 에릭슨을 비롯 IBM 인텔 마이크로소프트(MS) 등 7백여개 이상의 IT업체와 2만7천여명의 전문인력들이 밀집해있다. 정부는 시스타지역 개발을 위해 토지와 건물을 제공했다. 또 스웨덴 왕립공과대(KTH),스톡홀름대의 정보통신 관련 학과를 이 곳으로 이전시켰다. 별도의 정보통신대도 설립했다. 대학에서 양성된 우수 인력과 기술을 기업 경영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시스타의 인터랙티브 리서치센터에는 학계의 연구인력들이 기업의 의뢰를 받아 디지털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이 곳은 상업적 이용을 위한 기술개발이 목적이다. 순수학문을 위한 연구는 하지 않는다. 기업과의 공동작업도 수시로 이뤄진다. 시스타 사이언스파크의 홍보담당자 미티아스 벡맨은 "효율적인 산학협력은 미래 경쟁력의 가장 확실한 확보 수단"이라며 "정부는 적극적인 R&D 투자를 통해 원천기술을 제공하고 민간기업들은 이를 활용,혁신적인 제품으로 발전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헬싱키=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