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정보 위주로 관리되고 있는 신용정보관리에 우량정보도 편입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김병연 박사는 10일 오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소비자신용정보 관리제도 세미나'에서 "우리나라와 같이 불량정보만을 신용정보 집중대상에 포함할 경우는 대출받을 수 있는 적격자가 크게 줄 수 밖에 없다"며 "신용정보관리대상에 우량정보도 편입시켜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박사는 이어 "각 금융기관이 1천만원 이상의 여신정보에 한해 집중의무가 있으나 모든 여신정보를 집중해 여신상의 불이익을 받는 개인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불량정보도 과거 12개월간 원리금 상환실적이나 대출개시후 가장 심한 연체일 등을포함시키는 등 기준과 내용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거래계좌별 대출개시일, 대출한도, 대출거래로 인한 월간 납입액 등 우량정보를 새로 포함시켜 개인의 신용등급을 점수화 함으로써 추가여신의 결정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함께 참가한 신한은행 이상인 변호사는 "국내에도 우량신용정보의 집중과 활용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동시에 신용정보의 유출을 막기 위해 정보 취급자,수집.이용자에 대한 세부지침 등 프라이버시 보호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래신용정보 고상엽 이사도 "우량신용정보와 불량신용정보의 적절한 이용으로정확한 소비자 신용평가를 통한 신용위험관리는 물론 소비자신용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서비스도 개발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한승호기자 h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