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2일자) 최초로 작성된 산업기술지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자원부가 약 1년간의 작업끝에 발표한 산업기술지도(로드맵)는 국내에서는 처음 시도된 것으로 정부와 민간이 공유할 수 있는 기술개발 이정표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무선통신기기 디지털가전 광섬유 로봇 단백질 전지 등 반도체를 이어나갈 차세대 주력제품 분야에서 기술지도가 작성됐다는 것은 평가할 만한 일이다.
원래 로드맵은 기업내부에서 주로 활용돼 왔으나 지난 92년 미국 반도체협회가 로드맵 작성에 나서면서 산업차원에서도 주목받기 시작했다.
당시 위기를 맞고 있던 미국 반도체 업계는 로드맵을 토대로 세마테크(SEMATECH)라는 컴소시엄을 형성,연구개발을 추진함으로써 자신감을 회복하기도 했다.
이후 로드맵은 다른 업종으로 확산되면서 공동기술개발과 표준설정 등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최근 각국 정부가 선택과 집중 전략을 내세우면서 정부와 민간 공동의 로드맵 작성도 활발하다.
한정된 자원으로 신기술 산업분야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역할분담과 긴밀한 협력이 절실하지만 서로 공유할 수 있는 로드맵이 없다면 구체적인 액션플랜 마련은 불가능할 것이다.
이렇듯 로드맵은 활용하기에 따라서는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의 적정한 배분뿐만 아니라 개별기업의 기술개발 전략에도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이번에 로드맵이 작성된 분야의 경우는 특히 그렇다.
무선통신기기 디지털가전 광섬유 등은 국제적 표준경쟁이 치열하고,단백질 연구는 산ㆍ학ㆍ연 협력이 절실하며,로봇이나 전지는 응용범위가 워낙 넓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남은 과제는 로드맵의 활용성을 높이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산업계 연구계 대학 등 로드맵의 참여주체를 최대한 넓혀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기술적 정보가 풍부하면 개별기업 입장에서는 특정기술에 대한 과잉투자라든지 혹은 유망한 기술적 기회의 상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렇게 되면 개별기업들의 기술투자 효율성은 그만큼 높아질게 분명하다.
선진국의 경우처럼 로드맵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 역시 반드시 필요하다.
기술 및 시장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기회와 위협요인이 발생할 수 있고 우리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평가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앞으로 정밀화학 의료공학 멀티미디어 선박 등의 분야로 로드맵을 확대시켜 나간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 특히 이런 점에 유념해 로드맵의 활용성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